뉴스
"나노"(으)로 총 3,6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2016.06.13
- 전기전도성은 기존 대비 10배 이상 높아졌으며, 8배까지 늘려도 손상되지 않았다. 은 나노와이어의 고질적 문제였던 와이어간 저항 문제도 해결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투명전극이 달성한 전기전도성과 신축성은 모두 세계 최고 기록이다. 윤 교수는 “이 투명전극은 구부릴 수 있을 뿐 ... ...
- 단백질, 축구공 모양 탄소 분자 만나자 전기 통하네2016.06.06
- 밝혔다. 김용호 성균관대 교수 플러렌은 공업용 촉매제나 의약품 등에 많이 쓰이는 나노 물질이지만 같은 분자끼리 뭉치는 현상이 한계로 작용했다. 또 생체 재료로 쓰기 위해 단백질과 결합시키려는 시도가 많았지만 원자 수준의 구조는 파악하지 못했다. 연구진은 단백질 수용액에 플러렌을 ... ...
- 빛의 파장보다 작은 물체 관찰하는 ‘메타렌즈’2016.06.05
-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분해능이 높다는 것도 메타렌즈의 장점이다. 400㎚(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크기까지 작은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오재원 캐나다 워털루대 연구원은 “메타렌즈는 콤팩트한 평면 렌즈로 기존 렌즈를 뛰어 넘는 성능을 얻을 수 ... ...
- 될 수 있다! 스파이더맨!수학동아 l2016.06.03
- 발바닥 주름을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주름마다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아주 작은 나노 단위(10억분의 1미터 단위)로 미세한 털이 빽빽하게 나 있었다. 연구팀은 게코도마뱀이 발을 디딜 때마다 수십억 개의 털과 벽면 사이에 *반데르발스 힘이 생겨나 중력과 수직 또는 반대 방향으로 쉽게 붙어 있을 ... ...
- 20분만에 지카바이러스 진단하는 키트 개발2016.06.02
- 필요한 검체를 확보하고 진단하려면 수 시간에서 수 일까지도 걸렸다. 배판기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선임연구원팀은 지카바이러스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유전자재조합해 만든 뒤 이를 이용해 면역진단키트를 개발했다. 감염의심 환자로부터 피 한 두 방울을 채혈해 진단키트에 ...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06.02
- 일일 뿐만 아니라, 산업계에 필요한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그건 나노 과학만으로는 불가능하다. Q : 응용연구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무엇인가. A : 재료과학 분야다. 중이온가속기가 만든 희귀 동위원소는 안정한 원자핵으로 변하면서 방사선을 방출한다. 희귀 동위원소를 ... ...
-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01
- 숙주 내에서 바이러스 유전자를 복제하고 다시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지름은 40~6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로 보통 인간세포보다 200분의 1이나 작다. 지카에 대해 많은 정보를 알게 된 것 같지만, 사람에 비유하면 간단한 인상착의 정도다. ‘키가 170cm, 몸무게 70kg의 남성이 범인이다’고 말하는 ... ...
- 신성철 DGIST 총장, 한국인 최초 AUMS 상 수상2016.06.01
- 일 대만 타이난에서 개최되는 AUMS 국제학술회의(IcAUMS) 개회식에서 진행된다. 신 총장은 ‘나노스핀닉스, 회고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수상 기념연설을 할 예정이다 ... ...
- 영하 90도서도 문제없이 스마트폰 사용한다2016.05.31
- 적용한다면 더 편리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소재 분야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5월 10일자에 실렸다. ... ...
- 몸 속 단백질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2016.05.30
- 결과로 만들어낸 '세포소기관 바코드'. - UNIST 제공 연구진은 유전자재조합을 통해 2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의 작은 공간에서 특정 단백질이 만들어질 때 과산화효소를 이용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조작했다. 과산화효소로 인해 ‘페놀라디칼’을 포함한 단백질이 만들어지도록 한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