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4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뇌피질 먼저 밝혀 한국 뇌 연구 이끌겠다”
2016.04.29
국내에 1대뿐인 3차원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쥐 뇌에 수백만 개씩 있는 피질기둥을 500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 두께로 잘라 절편을 만든 뒤 사진을 찍어 뇌 지도를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기둥 하나의 지도를 만드는 데 500일가량 걸린다. 미국 하버드대는 반나절이면 기둥 하나를 ... ...
정전기에 드론까지…미세먼지 잡는 기술 어디까지 개발됐나
2016.04.29
이용한 필터를 쓰고 있어 입김이 닿으면 성능이 떨어진다. 박 교수는 “거미줄처럼 얽힌
나노
섬유를 이용해 호흡하기에 좋고 습기에도 강한 황사마스크를 개발해 시제품 제작까지 마쳤다”며 “미세먼지 제거 효율도 한층 높아졌다”고 말했다. ... ...
‘연구하는 총장’ 한양대 이영무 교수 ‘네이처’에 논문 게재
2016.04.28
냉각장치와 가습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이 총장이 이끈 연구팀은 구멍 크기가
나노
수준인 탄화수소 분리막을 개발했다. 고온에도 추가 장치 없이 작동하고, 가격도 불소계 분리막의 10분의 1 수준이다. 이 총장은 분리막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석학이다. 관련 특허를 120여 건 ... ...
차세대 스마트폰용 ‘휘어지는 화면’ 만들었다
2016.04.27
한계성이 커 구부릴 때 깨지는 일이 잦았다. 이런 문제로 그래핀이나 메탈 메쉬(Metal mesh),
나노
와이어 등 다양한 소재가 연구되고 있다. 연구진은 최근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그래핀에 구리-니켈 합금 메탈 촉매를 적용해 합성 그래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합성 그래핀의 특성을 시험한 결과 ... ...
사람 피부 모방한 압력센서 개발
2016.04.26
인체 어느 곳에나 쉽게 붙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 ‘ACS
나노
’ 1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구진이 개발한 압력센서의 이온채널(왼쪽)과 이를 손목에 붙여서 혈압을 측정 중인 모습(오른쪽). - 고려대 ... ...
차세대 ‘자성 메모리’ 개발 실마리 찾았다
2016.04.25
있는 자성 메모리 소자 개발의 실마리를 발견했다. 문경웅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나노
측정센터 선임연구원 팀은 디스크를 직접 돌리지 않고 교류 자기장을 이용해 디스크 자성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법을 고안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진은 위상학적인 자화 상태인 ‘스커미온’을 교류 ... ...
RNA 간섭 이용해 약물 쉽게 전달하는
나노
구조체 개발
2016.04.25
드러났다. 노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원 시절부터 핵산 약물을 이용한
나노
의학적 응용 연구를 수행해 왔다. 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암을 포함해 유전질환이나 바이러스 감염 질환 등 다양한 생명공학, 의학 분야의 치료제 개발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블라인드 안녕~!’ 자동으로 투명도 조절하는 창문
과학동아
l
2016.04.23
은
나노
와이어를 코팅한 뒤 이것을 유리판 양면에 붙였다. 여기에 전기를 흘려주자 은
나노
와이어가 움직이면서 고무표면을 변형시켰다. 변형된 고무는 빛의 투과를 방해해 유리판을 불투명하게 만들었다. 얼음 표면이 매끄러우면 내부가 들여다보이지만, 심하게 굴곡진 경우 안이 잘 보이지 않게 ... ...
“과학계-정계 소통 위해 비례대표 1번 승낙”
2016.04.20
신 당선자는 또 새롭게 과학계에 진출하려는 여성과학자 후배들에게 “최근 과학기술이
나노
과학, 생명과학, 융합 학문 등으로 발전하면서 여성들이 일하기에 오히려 유리한 면이 많아졌다”며 “여성의 약점으로 꼽히는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 등을 보완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 ...
싼 전기료로 TV는 더 밝게 본다
2016.04.18
분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인 ‘
나노
레터스’ 1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으며, 해당기술은 LED 전문기업에 기술 이전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판의 모식도(왼쪽)와 현미경 사진(오른쪽). 일정하게 배열된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돌기 속에 빈 공간을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