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4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도 예외는 아니다. 보툴리움톡신은 1kg당 3
나노
그램꼴의 용량(몸무게 50kg인 경우 150
나노
그램)으로도 복용한 사람의 절반이 죽는다고 한다. 즉 70억 지구촌 사람들이 보툴리움톡신 1kg를 몸무게에 비례해 골고루 나눠먹는다면 35억 명이 죽는다는 말이다. pixabay 제공 이처럼 어마어마한 맹독임에도 ... ...
이차원
나노
물질에서 전하 빨리 움직이는 이유 찾아
2016.05.16
폴리테크닉대와 공동으로 이황화몰리브덴(MoS2)과 이황화텅스텐(WS2)이 접합된 이차원
나노
물질 사이에서 전하의 빠른 이동 원인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이종 접합된 이차원 물질 사이는 간극이 넓어 전하이동 속도가 매우 느릴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실험 결과는 전하이동 ... ...
무공해 전기 24시간 생산… ‘염분차 발전’ 실용화 가능해졌다
2016.05.15
지구·환경공학부 교수팀은 바닷물과 강물의 염분차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
나노
기반 초박형 분리막’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분리막을 이용하면 민물과 바닷물의 염분 농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염분차(鹽分差) 발전의 효율을 큰 폭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 ...
현택환 IBS 단장, ‘국제진공과학기술응용연합(IUVSTA) 기술상’ 수상
2016.05.12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입자연구단장(사진)이 한국인 최초로 국제진공과학기술응용연합(IUVSTA)이 주는 ‘IUVSTA 기술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IUVSTA는 세계 33개국 진공과학기술 분야 학회의 연합기구다. 3년마다 진공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과학기술자를 1명씩 선정해 IUVSTA ... ...
강도 50% 높인 탄소섬유 개발
2016.05.11
㎛) 수준인 이 기공은 탄소섬유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돼 물리적으로
나노
미터(nm) 급으로 바꿔 물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진행돼왔다. 연구진이 제안한 탄소섬유의 모식도. 탄소 층과 층 사이에 질소원자나 탄소원자가 위치하면 강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논문 거절할지 말지는 30분 만에 판가름”
2016.05.11
알베르토 모스카텔리 네이처
나노
테크놀로지 편집장 -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논문을 진지하게 검토할 것인지 거절할 것인지는 30분이면 판가름 납니다. ... 이는 연구자의 수와 연구 규모가 다른 나라에 비해 적어서 그런 것”이라며 “한국의
나노
연구 수준은 뛰어나다”고 말했다. ... ...
금
나노
입자에 ‘팔’ 12개 붙여보니
2016.05.10
인체 내 약물 전달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박 교수는 “금
나노
입자는 안정성이 높고 인체친화력이 높아 매우 다양한 분야에 쓰이는 재료”라며 “이 재료의 반응성을 구조적으로 높인 것이 이번 연구의 의의”라고 설명했다. 연구 성과는 광학 재료분야 학술지 ‘저널 오브 ... ...
우리 몸속에도 ‘복선(複線) 기찻길’이 다닌다
2016.05.08
뒤쪽으로 흐르는 단백질을 나타낸다. 미세소관은 세포 구조 중 하나로 지름이 25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원통형 세관 2개로 이뤄져 있다. 미세소관은 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가 알맞게 나뉘어 들어가도록 관여하고,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 소기관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 ...
1학급 1과학동아 과학자 기부 릴레이 9호
동아사이언스
l
2016.05.04
더해지고 있다. 1학급 1과학동아 과학자 릴레이 캠페인의 ‘9호’ 기부 주인공은
나노
크기의 정밀하고 미세한 연구에서부터 자기부상열차, 플랜트 기술 등 거대과학에 이르기까지 기계기술 분야의 핵심기술 개발에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한국기계연구원의 임용택 원장이다. 임 원장은 ... ...
유기태양전지 프린팅, “참 쉽죠”
2016.05.02
광활성 물질을 혼합한
나노
혼합물을 이용해 한 번에 2개 층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나노
혼합물이 자발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활용한 것이다. 그 결과 연구진은 6번 걸리던 공정 단계를 4번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광변환 효율은 9.1%로 기존 무기태양전지의 광변환 효율 최대치(10%)에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