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4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이들이 만든 단백질 구조체의 크기는 지름이 24~40㎚(
나노
미터·1㎚는 10억 분의 1m) 수준이다. 약물이나 유전물질 등을 넣기 충분한 크기다. 킹 교수는 “우리가 이번에 만든 단백질 구조체는 컴퓨터로 설계해 만든 단백질 구조체 중 크기가 가장 크다”며 “사용 ... ...
항암치료에 쓸 ‘백신 배달부’ 개발됐다
2016.07.20
단백질
나노
입자 '인캡슐린'을 개발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 왼쪽부터 최봉서 연구원, 강세병 교수, 문효진 연구원.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과 ... 경제적이고 강력한 항암백신으로 쓰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학술지 ‘ACS Nano’ 8일자에 실렸다. ... ...
화학실험도 아~트하게, 느낌있게
과학동아
l
2016.07.20
연구팀은 금속이온과 할로겐화물을 이용해 빛을 내는
나노
물질을 만들었다. 이
나노
물질은 화학반응의 부산물과 반응하면 할로겐 이온을 방출한다. 처음에는 빨간색 빛을 내지만 화학 반응이 진행돼 할로겐 이온 농도가 높아질수록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등 파장이 짧은 빛을 낸다. 화학반응의 ... ...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전극이 붙어있는 1차원 반도체 전자현미경 사진(왼쪽)과 끝부분을 확대한 사진 - 고려대학교 제공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미세전류와 빛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 ... 데 쓰일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 학술지 ‘
나노
레터스’ 6월 27일자에 실렸다. ... ...
태양전지 신소재로 LED 조명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2016.07.18
교신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김동하 이화여대 화학
나노
과학과 교수(왼쪽)와 제1저자 전리나 연구원 - 이화여대 제공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신소재 ‘페로브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서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나노
테크놀로지’ 6월 27일자에 실렸다 ... ...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6.07.15
연구팀은 논문에서 “대부분의 단백질 기반 항원은 RNA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
입자 백신을 다양한 암에 대한 만능백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나노
물질이 퇴행성 뇌질환 일으킬 수 있어”
2016.07.14
독성 측정법을 함께 개발했다”며 “향후
나노
안전성 평가의 기반이 돼
나노
화장품,
나노
의약품의 독성을 검사하는 데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5일자에 실렸다. ... ...
“낮은 온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수소 저장”
2016.07.13
“이 소재는 수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상태 변화만 잘 조절하면 수소 저장 소재나
나노
이온 소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11일자에 실렸다. ... ...
M램은 속도 느려 못 쓴다고? 제약 깬 새로운 M램 개발
2016.07.13
신소재인 이리듐-망간을 사용하자 외부 자기장 없이도 자성메모리가 작동할 수 있게 됐다. 그 결과 집적도와 처리 속도가 빨라졌다. - KAIST, 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팀 ... 기기 등에 활발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나노
테크놀로지’ 11일자에 실렸다. ... ...
환부에만 약물 보낸다… 벌떼처럼 움직이는 미세입자 나왔다
2016.07.12
IBS) 첨단연성물질연구단장(울산과학기술원 특훈교수)이 이끄는 연구진은 지름 1~1000㎚(
나노
미터‧10억 분의 1m) 크기로 만든 미세 콜로이드 입자들을 벌이나 새처럼 군집을 이룬 형태로 조직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작은 유리공 한쪽 면에만 금속박막을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