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밀가루 반죽에 숨을 불어 넣은 건 바로 효모다. 지금보다 훨씬 맛있고 건강한 빵에 대한 열쇠도 효모가 쥐고 있다. 앞으로 효모는 어떤 놀라운 빵의 역사로 인류를 초대할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갈 길이 멀다. 더욱 맛있는 빵을 만들기 위한 제빵사들의 노력과, 살아 있는 효모에 대한 식품생명공학자들의 애정 어린 연구가 만나 가까운 미래에는 모두가 맛보고 싶어 하는,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한국 빵’이 탄생할 날이 올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솔리테어에서 이길 확률과 볼록다각형의 성질 증명하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찾고, 이 유전자가 만드는 미지의 단백질로 다양한 신약까지 개발해 의료의 질을 최대한 끌어 올리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젊은 학도들에게 그는 “머릿속의 떠오른 질문과 해결하려는 마음이 확실하다면, 흔들리지 말고 자신의 길을 걷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보완할 수 있다.아쉽게도 온도나 질소가 맛과 관련된 어떤 분자를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암브러스트 프로덕트매니저는 “커피의 맛에는 원두, 로스팅, 온도 조절 등 모든 과정들이 관여해, 작은 변화도 맛과 향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다”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질소 역시 맛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뤄진 암 생태계가 훨씬 잘 살았다(사람 몸에 해로웠다는 의미). 종양내이질성에 대한 연구 중에서도 서브클론들의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가 최근 활발하다. 암 생태계를 구성하는 서브클론들은 마키아벨리 뺨치는 작전을 구사하며 각자의 생존력을 극대화시킨다. 얌체처럼 일방적으로 다른 클론의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고소한 맛이 났다. 고대 사람들이 이렇게 맛있는 빵을 밥으로 먹고 살았다니! 눈앞에 거대한 피라미드와 스핑크스가 펼쳐지고 파라오 석상이 반기는 듯한 착각이 들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4차전 올림피아드 속 순환주기와 겹치지 않는 경로 찾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
- [DJ CHO의 롤링수톤] 데이브 브루벡의 ‘테이크 파이브’ 새로운 리듬의 창시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재즈의 계절입니다. ‘위플래쉬’와 ‘라라랜드’ 같은 재즈 영화가 흥행하면서 재즈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재즈는 폭발적이진 않지만 끊임없이 사랑받는 음악 장르지요.오늘은 꾸준히 사랑받는 재즈 명곡을 소개합니다. “백인이 재즈를 구했다.”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나온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작은 돌기들이 미세섬유를 잡는 ‘코라볼(위 사진)’을 개발했다.그간 미세구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았던 이유는 다른 미세플라스틱과 달리 소비자의 노력으로 충분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미세섬유도 마찬가지다. 우리의 관심과 노력만으로도 줄일 수 있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