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이거 어디서 많이 본 듯한 광경이라구?에이~, 우리 솔직해지자구! 사실은 다들 한 번씩은 이런 경험들이 있잖아. 내가 더 열심히 공부한 것 같은데, 짝꿍이 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적 없어?‘하면 된다’라는 말은 그저 옛날부터 내려온 속담일 뿐이며, 오히려‘하면 된다’가 틀렸다는 걸 몸소 ... ...
- PART1. 공부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공부하는 나를알자한시가 급하니까 어서 빨리 공부 잘하는 방법을 가르쳐 달라구? 하지만 아까‘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했잖아. 어떻게 공부하는 지 알아야 공부 잘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지. 그러니까 다들 자기가 어떻게 공부하는지 지금 빨리 나한테 알려 달라구! 음…, 그렇구나! 어…, 그 ... ...
- PART2. 공부전략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하는 게 더 효과적이야.재미 없는 공부는 뇌도 재미 없어 한다2004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김성일 교수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재미를 느낄 때 생각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담당하는 부위인 이마엽이 활발하게 반응한대. 어? 그럼, 개그콘서트를 보면서 공부를 하면 생각도 잘 되고 이해도 더 빨리 ... ...
- epilogue 신체능력격차시대 올까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업그레이드하는 비용이 억만장자라도 꿈을 못 꿀만큼 비싸다. 서울대 공대 의공학과 이정찬 박사는 “미국형 심장의 1/10가격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인공심장도 수술비용까지 합하면 5000만 원 이상으로 비쌀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도 가격으로 전신을 수술하면 500억원까지는 아니겠지만 ...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싶다는 욕망을 불끈 솟아오르게 만드는 초봄의 비타민 같은 책이다.박석재서울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에서 블랙홀 천체물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대전시민천문대 건립을 제안하며 천문학의 대중화에 헌신했고,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를 창립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최근까지 아무도 이런 실험을 해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10여년 전 미국 플로리다대 동물학과 토드 팔머 교수팀은 아프리카 케냐의 들판에서 생태연구를 하고 있었다. 그 일환으로 들판을 나눠 한 구획에 전기가 흐르는 울타리를 쳐 코끼리나 기린, 영양 같은 초식동물의 접근을 막았다. 그로부터 ...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제주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식용버섯 중에 말똥버섯이라는 게 있다. 이 버섯은 이름처럼 섬에 많이 사는 말이 싸놓은 똥에서 자란다. 말똥버섯(큰갓버섯)에서 떨어져 나온 포자(씨앗)는 바람에 실려 날아다니다 풀잎 위에 떨어지고 소나 말이 이 풀잎을 먹을 때 동물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포자는 ... ...
- 분자로 만든 북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서로 다른 ‘분자 북’이 내는 고유한 소리를 구분할 수도 있다.미국 스탠퍼드대 물리학과 하리 마노하란 교수팀은 모양이 각기 다른 분자 북을 만들어서 그 안에 전자를 넣고 진동시킨 뒤 소리를 관측해 비교한 결과를 ‘사이언스’ 온라인판 2월 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원자현미경으로 구리 ...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과학동아 l2008년 03호
- 그 직전의 순간에 우리가 어떤 기대를 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대니얼 길버트 교수의 설명이다.이처럼 우리는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의도를 추측할 수 있고 남도 그럴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분위기 파악 못하고 딴소리 하거나 엉뚱한 행동을 ...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새로운 관점에서 나온 결론이었기 때문이다.미국 일리노이대 유전발생학과 칼 우스 교수는 미생물학자로 효과적인 미생물 분류 방법을 고민하고 있었다. 미생물은 식물이나 동물처럼 형태의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스 교수는 당시 급격히 발전하고 있던 분자생물학을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