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모아 각 대학에서 전시회를 열기도 한다. 동아리 연합회장인 박재현(계명대 디지털영상
학과
03학번) 군은 “새에 대한 지식이 특별히 많기보다는 새를 좋아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라며 “동아리에 들어오면 선배로부터 새의 종류와 특징을 배운 뒤 탐조를 나가 새를 직접 본다”고 설명했다.매년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 멘토링을 가진 뒤 6개월 만에 연구소를 찾는다는 건국대 신소재공
학과
4학년 박주현 양은 대전행 KTX 차내에서 당시를 떠올리며 미소지었다. 당시 3학년이던 주현 양은 ‘이 공부를 계속해야 할까?’라는 의문에 답을 찾으려고 고민하고 있었다. WISE의 멘토링 인턴십 과정에 ... ...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봄기운이 느껴지는 3월 양지바른 곳에 펼쳐놓은 좌판에는 삐악거리는 병아리와 자그만 병이 지나가는 이들의 눈길을 잡아끈다. 병속을 들여다보면 톱밥을 뒤집어쓴 애벌레가 꿈틀거리고 있는데, 바로 사슴벌레의 유충이다. 나무를 썩히는 버섯, 특히 전복느타리버섯이나 느타리버섯의 균사를 넣어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내보고…. 5년 동안 실험실 생활의 진수를 골고루 맛본 신 교수는 2005년 한양대 생명과
학과
에 부임했다. 내 만화는 블랙 유머“미국생활이 끝날 즈음에 한 선배로부터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http://www.kosen21. org)의 웹진에 만화를 연재해보라는 제안이 있었습니다. 이국(異國)에서의 박사후 ... ...
지혜 담긴 집 한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한옥은 조선시대 반가(班家)를 의미하나 그 역사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미 그때부터 한옥은 한반도의 기후에 맞는 주택으로 주목받았다. 고려시대에 접어들며 도가사상의 영향으로 기본 양식을 굳혀나갔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그림자 속에서 한옥의 형식적인 특징이 완성됐다.한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차이는 더 클 때(나 120, 상대방 60) 보다도 높았다는 것. 연구를 이끈 독일 본 대학 경제
학과
아르민 폴크 교수는 “사회적 비교가 개인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는 경제이론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절대적인 소득액이 개인의 행복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전제하는 전통적인 ... ...
불타는 나의 로봇 본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곧 사람들이 탐낼 만한 디자인의 로봇이 등장할 거란 생각에서다. 그는 KAIST 기계공
학과
오준호 교수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에 대해 “나라면 아예 곡선 위주의 디자인에서 탈피해 기계적인 느낌을 살려주는 직선으로 디자인했을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했다.올해 MR의 목표는 두 발로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겨루기 위한 ‘결투’도 마다않는다고 하던데?1996년 연세대에 부임하자마자 정치외교
학과
김기정 교수가 내 소문을 듣고 찾아왔다. 그는 연세대 최고의 보컬로 유명했는데, 나와 노래 실력을 겨루고 싶어 했다. 결국 우린 만나 노래를 불렀고 지금은 손잡고 함께 노래방 가는 사이가 됐다. 결투의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 휴대전화를 귀에 대고 통화를 한지 10여 분. 통화를 끝낸 뒤 얼굴과 귀에서 난 땀 때문에 휴대전화 액정화면이 번들거린다. 뜨거운 전자제품은 휴대전화뿐만이 아니다. 컴퓨터는 온풍기 마냥 열을 뿜어대고 노트북도 오래 사용하면 키보드에서 모락모락 올라오는 열 때문에 손이 땀에 젖는다.전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001년 거대한 우주암석의 궤도를 바꿔 지구를 구하는 방법을 연구해 국제저널 ‘천체물리
학과
우주과학’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름 100km짜리 소행성(또는 혜성)을 갖고 시뮬레이션을 했다.먼저 궤도를 바꿔 지구로 향하는 데 소량의 에너지가 드는 소행성을 찾는 게 좋다. 소행성에 역추진로켓을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