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한다. 도둑의 위치까지 알 수 있다면 금상첨화. 우선 녹화 장치로는 휴대전화 4대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중에서도 135도의 넓은 각도로 고해상도 영상 촬영이 가능한 LG전자의 ‘G5’ 모델을 채택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칩까지 내장돼 있으니 상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문제도 한꺼번에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출시했다. 이 음료는 단맛을 내기 위해 천연 대체 감미료로 알려진 스테비올배당체를 사용했다. 스테비올배당체는 남미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식물 잎에서 얻는데, 같은 양일 때 설탕의 약 300배에 해당하는 단맛을 낸다. ● 04 MILK - 바나나, 오디, 귤 세상에 없던 우유 ‘OO맛 우유’ 하면 제일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했다. 그런 다음 쥐의 초음파를 초음파 사진으로 바꿔 이미지로 만들었다. 자율주행차에 사용되는 이미지 인식 AI 알고리즘으로 초음파 이미지를 해석하기 위해서였다.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딥찍찍을 이용해 쥐의 초음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쥐는 약 20가지의 초음파 발성 패턴을 보유한 것으로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못한다는 바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옴니휠(Omni wheel)’이라는 특수 바퀴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옴니휠은 상하좌우 어떤 방향으로든 굴러갈 수 있습니다. 옴니휠 바퀴를 기반으로 그 위에 휴머노이드 몸체를 만들어 세우는 상상을 했습니다. 키가 130cm이니까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모델로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기판과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실제 광전효과를 내는 핵심 재료인 유기물을 이용해 태양전지를 제작했습니다. doi:10.1002/anie.201807513 이를 이용해 반지름이 3mm가 될 때까지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태양전지도 만들었습니다. 100회 이상 ... ...
- [시사과학] 보이지 않는 살인자 일산화탄소 중독을 막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경우가 많은데, 밀폐된 공간에서 오랜 시간 사용하면 안 돼요. 난방기구는 산소를 많이 사용하고 일산화탄소가 새어 나올 수 있기 때문이에요. 잠을 잘 때는 난방기구를 끄거나 텐트 밖에 두는 편이 좋아요. 또, 텐트나 캠핑카의 출입문과 창문을 완전히 닫지 말고 수시로 환기를 해줘야 해요. 긴급! ... ...
- [핫이슈] AR을 찍자 눈앞에 한자가 나타났다! 마법천자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체험하는 가상현실(VR)과는 다르지요. 몇 년 전 유행했던 게임 ‘포켓몬 GO’는 AR 기술이 사용된 대표적인 예랍니다. AR 기술은 스마트폰 속 자이로센서를 이용해요. 자이로센서는 중력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 스마트폰의 회전과 기울기를 알아내는 장치예요. 스마트폰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 ...
- [과학뉴스] 손목 움직여 피아노 치는 로봇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간단한 멜로디를 연주하는 데 성공했다. 휴즈 연구원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이번 연구가 사람과 더 가까운, 자연스러운 손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robotics.aau309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다. 다만 2009년 9월 세계보건기구(WHO)는 내성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예방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 바 있다. 오셀타미비어를 처음 개발한 사람은 한국인이다. 1996년 길리어드에 재직하던 김정은 연구원이 이끌던 연구팀은 먹는 형태의 인플루엔자 치료제를 개발했고, 이게 바로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세세한 규칙이 많아 진입장벽이 높다”며 “새로운 사용자가 성장할 기회를 주는 보호 장치가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윤 선임연구원은 또 “위키백과가 좋은 집단지성의 사례라는 점은 확실하다”면서도 “위키백과의 편집자 중 상당수가 백인, 20~40대,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