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헉! 치실에서 발암성 물질 검출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국 유방암 예방 관련 비영리단체인 침묵의 봄 연구소(Silent Spring Institute)의 캐서린 보로노우 연구원팀이 일부 치실 제품에서 발암물질로 ... 보로노우 연구원은 “치실에서 PFAS가 검출된 첫 연구”라며 “치실 중 테프론이 사용된 제품을 피하는게 좋다”고 밝혔다. doi:10.1038/s41370-018-0109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한다. 도둑의 위치까지 알 수 있다면 금상첨화. 우선 녹화 장치로는 휴대전화 4대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중에서도 135도의 넓은 각도로 고해상도 영상 촬영이 가능한 LG전자의 ‘G5’ 모델을 채택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칩까지 내장돼 있으니 상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문제도 한꺼번에 ... ...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상 보관할 경우 우유 함량이 높은 캔커피는 내용물이 상할 수 있다. 캔의 코팅제로 사용되는 비스페놀A라는 호르몬 교란 물질이 녹아 나올 수도 있다. 또 캔커피는 온장보관 했다가 다시 냉장보관을 하게 되면, 급격한 온도변화로 침전물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건 비단 캔커피 뿐만이 아니라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갑술’이라는 화려한 액션도 알리타의 특징 중 하나다. 기갑술은 플라스마 불꽃을 사용한다거나 주먹에서 초고주파를 발생시켜 적에게 충격을 주는 등 인간의 신체로는 절대 할 수 없는 기술을 구사하는 사이보그 무술이다. 그런데 알리타의 뇌는 인간의 뇌가 아니었던가. 사람의 몸으로 할 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기판과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실제 광전효과를 내는 핵심 재료인 유기물을 이용해 태양전지를 제작했습니다. doi:10.1002/anie.201807513 이를 이용해 반지름이 3mm가 될 때까지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태양전지도 만들었습니다. 100회 이상 ... ...
- [수학뉴스] 2월의 수학자 - 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천문학자들의 수명을 2배로 늘려줬다”고 말할 정도였죠. 로그뿐만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소수점’을 처음 고안한 것도 바로 네이피어입니다. 예전에는 소수점 대신 각 숫자 옆에 자릿수를 나타내는 수를 함께 적어야 했는데, 일의 자릿수 오른쪽에 점을 찍어 이를 기준으로 자릿수를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왜 이름이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이냐고요? 연구팀은 새로운 칼레이도사이클에 사용하는 사면체 개수를 무한대로 늘리면 3번 꼬인 뫼비우스 띠가 나타나는 것을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유닛을 연결하는 각도가 90°보다 작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뫼비우스 띠처럼 꼬인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다르다. A4(210×297mm)를 기준으로 가로세로를 조금씩 줄여 매체별로 가장 적합한 판형을 사용하는 추세다. 미국 주간지 ‘피플’과 경제지 ‘포춘’은 한 손에 쏙 들어가는 크기(200.025×265.1125 mm)를 채택하고 있다. 네이처그룹이 발행하는 173년 전통의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이보다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줄 것을 요청했다. 발자국이 발견된 곳은 대형 덤프트럭들이 수시로 지나다니는 공사용 임시도로 바로 옆이었다. 임시도로가 1m만 더 넓었어도, 굴삭기가 조금만 옆으로 지나갔어도 이렇게 희귀한 발자국은 세상에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곧바로 발굴 작업에 들어갔다. 발자국의 깊이는 1mm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6=(125×log10ADD)-212’라는 회귀식을 사용해 구한다. 이 공식은 익사하거나 매장된 시체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다행히 유병언의 시체는 지상에서 발견돼 공식을 적용할 수 있었다. 이렇게 계산한 유효적산온도는 234도, 다시 말해 온도가 누적돼 234도가 되는 날과 시간을 역추적하면 사망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