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기계 장치를 고안했지요. 이후 도르래는 전세계 곳곳에서 주로 무거운 자재를 옮기는 데
사용
됐답니다. 프랑스 루이 15세와 나폴레옹이 도르래를 이용해 ‘날아다니는 의자’를 만들어 궁전 내에서 이동했다는 기록도 있지만, 줄이 끊어지면 사고로 이어졌기 때문에 사람을 운반하는 용도로는 널리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시속 50km로 최대 30분간 비행할 수 있어요. 볼로콥터는 앞으로 드론 택시를 부를 때
사용
할 앱을 개발하고 있어요. 집에서 앱을 이용해 목적지를 입력하면 드론 택시가 가까운 착륙장으로 오지요. 이착륙은 건물 옥상이나 헬리콥터 이착륙장에서 할 수 있기 때문에 먼 공항까지 갈 필요가 없어요.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소리예요. 재미있게도 과학자들은 이 소리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첨단 기술을
사용
했답니다. 2015년,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손가락을 분석해 “*활액에 공기가 밀려들어올 때 소리가 난다”고 주장했어요. 반면 2018년에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이 손가락의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추진 비행기는 10초 간 60m를 날 수 있었어요. 바레트 교수는 “이온풍 비행기는 연료를
사용
하거나 배기가스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이며 소음도 없다”며 “앞으로 기술이 더 발전하면 사람이 타는 이온풍 비행기도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정하는 거예요. 우리나라는 5G 통신망을
사용
할 가능성이 높아요. 별도의 통신 장비를
사용
할 필요가 없고, 전국 어디에서나 관제탑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거든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체계부 전대근 책임연구원은 “현재는 하늘길을 만들기에 앞서 필요한 체계와 개념에 대해서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다음 단계는 인증모델(QM)이에요. 엔진이 잘 작동하는지 지상에서 연소 시험할 때
사용
하는 모델이지요. 비행모델(FM)은 실제로 하늘에 날려 발사체의 모든 성능을 최종적으로 검증하는 모델이에요. 이번에 발사된 시험발사체도 비행모델에 포함돼요. 이때에는 발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과 알고리즘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Go’ 버튼을 순서대로 누르면 노래에 맞춰 뚜뚜가 자유롭게 움직여요. 이 기능을
사용
하면 방향 코딩을 잘 모르는 어린 동생들도 쉽게 순서의 개념을 익힐 수 있답니다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1이라고 한다. 초음속 비행기나 로켓 등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속력을 나타낼 때
사용
한다.) 하지만 이 여객기는 기름을 많이 소모하는 만큼 이용요금이 매우 비쌌어요. 또 초음속으로 이동하며 만들어진 *소닉붐도 문제였지요. 콩코드가 지나가면 엄청난 굉음이 발생하는데, 그 에너지가 워낙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유전자 편집 아기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말했어요. 또, 중국 과학기술부 쉬난핑부부장은 “중국은 2003년 생식 목적의 유전자 편집
사용
을 불법으로 규정했다”며 “규정을 위반했으므로 관련 법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말했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도넛 모양으로,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가두지요. 앞으로 핵융합 발전을
사용
하기 위해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아요. 그래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가 핵융합 발전을 연구하기 위한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를 프랑스에 짓고 있어요. 2025년 첫 플라스마 발생을 목표로 하고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