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국인에 비해 척추의 굴곡이 심한 편이라(위 그림의 3 번에 해당), 미국의 매트리스는 한국에 비해 매우 무른 편”이라며 “체형에 따라 적합한 침구를 고르는 것도 잠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3단계 ┃ 낮에는 푸른 빛, 밤에는 녹색 빛 이제 숙면 환경을 조성할 차례다. 2007년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17년 6월 2일, 삼성 호암재단에서 주최하는 ‘호암상 초청 강연회’에 강연자로 한국을 방문하는 보이틀러 교수를 e메일로 인터뷰했다.환경을 통해 수많은 미세 생명체들이 우리 몸에 들어왔다 다시 배출되기를 반복한다. 특히 병원성이 있는 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우리 몸에선 즉각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인정받는 프랑스의 게랑드 갯벌 천일염 등과 함께 약 0.2% 정도밖에 생산되지 않는다.한국의 갯벌 천일염은 대량 생산하는 천일염처럼 바다에서 물을 끌어온 뒤 그 공간에서 바로 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증발지’라고 부르는, 갯벌을 다진 땅에 바닷물을 가둔 뒤 일정 시간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전일지도 모르겠다. 한국의 빵 역사를 좀 더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이광석한국 최초의 제과제빵 교수. 성균관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트퍼드대에서 MBA, 경희대 식품가공학 석사와 동국대에서 식품공학 박사를 취득했다. 과거 덕수제과를 운영하기도 했고, 해외 여러 유관기관의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어린 연구가 만나 가까운 미래에는 모두가 맛보고 싶어 하는,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한국 빵’이 탄생할 날이 올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Part 3. 최고의 빵 ... ...
- 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안녕! 나는 우주 도시 B-9 구역에 사는 신미래야. 지난달에 해상 도시에서 이곳 우주도시로 이사를 했지. 우주 셔틀을 타고 지구를 떠났는데, 이곳에 또 하나의 지구가 있더라고! 한 달밖에 안 됐지만 이곳은 정말 색달라. 아직 이곳에 못 와본 너희를 위해 내가 살아 본 도시들을 소개할까 해. 2017년을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비밀 1 지하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 굴착기 ‘TBM’지하 도시는 장점이 많지만, 불과 50년 전까지만 해도 땅속을 파는 것은 목숨을 걸고 해야 하는 일이었어요. 측정 기구와 땅을 파낼 도구가 부실했기 때문이죠. 그래서 무너지기 쉬운 땅속에서 오랜 기간 공사를 하다가 종종 인명 사고가 일어나곤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는 도시를 만들 수 없을까요? 산소도, 중력도 없는 우주에선 오롯이 사람이 모든 걸 만들어야 한답니다. 또 하나의 지구를 거대한 우주선 안에 담는 방법! ‘우주 정착선’을 만나 보아요~!★특명 1 위치를 고정하라!1969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제라드 오닐 박사는 새로운 아이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유권자의 마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후보들은 항상 여론조사가 정확한지 경계합니다.한국의 유권자는 약 4000만 명이지만 여론조사는 1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때 전체 유권자를 모집단, 여론조사 대상으로 뽑힌 일부를 표본이라 부릅니다. 완벽하게 무작위적으로 표본을 뽑으면 1000명만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4차전 올림피아드 속 순환주기와 겹치지 않는 경로 찾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