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북 순창군의 장수인들과 함께 장수의 비밀을 알아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6736(16)32381-92) doi:10.1186/gb-2013-14-10-r1153) doi:10.18632/aging.101020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63574.1152) doi:10.1016/j.cell.2008.06.0513) doi:10.1016/j.cmet.2011.03.020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하 도시는 가장 가까운 미래 도시라고 할 수 있어요. 이미 세계 곳곳에서는 지하를 개발해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거든요. 역사 곳곳, 세계 곳곳 지하 도시사실 지하 도시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던 도시 형태예요. 세계의 지하 도시 유적은 현재까지 확인된 것만 40여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시설들도 빠짐없이 넣었죠. 그렇게 1만 명 이상이 살 수 있도록 만들었답니다. 저희가 한국에 살고 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생각이지 않을까요? 하하~.Q인공 위성 파편과 부딪히면 어떡하죠?장재훈 사람의 몸은 상처가 나면 피가 나요. 얼른 굳어서 나쁜 세균들이 들어오지 못하게 일단 막기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말했다.연구가 끝나기까지 채 2주가 걸리지 않았다. 2월 5일에 출국해 2월 21일에 한국에 귀국했는데, 귀국하기도 전에 이미 아카이브에 논문이 실려있었다. 처음 연락했을 때만 해도, 학생들은 버틀러 교수에 대해 아는 게 많지 않았다. 저글링을 연구하는 교수님이라는 정보가 전부였다. 알고 보니 ... ...
- [과학뉴스] 소아과학저널 (The Journal of Pediatrics)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많은 항생제 처방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소아과학저널’ 2016년 12월 21일자에 나왔다. 한국 영유아들은 만 2살이 될 때까지 1명당 연평균 3.41건의 항생제 처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대상 6개국 가운데 가장 낮은 노르웨이의 0.45건보다 7.6배나 많은 양이다.소아과학저널은 영유아와 어린이,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세포를 다 제거했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이 현격히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심진형 한국산업기술대 기계공학과 교수도 “면역거부반응은 주로 동물 내의 단백질이 일으키는데, 식물의 세포외기질을 이루는 셀룰로오스 등은 전부 당류”라며 “아마 면역거부반응이 없을 것”이라고 말 했다.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갈하고 자극이 없으며 담백했다. 맵고 짠 국물에 중독되어 있던 미나의 시간선에 살던 한국인들이라면 밍밍하다고 불평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미나가 보기에 이들은 제대로 된 길을 걷고 있는 것 같았다. 배양육과 같은 새로운 재료를 쓴 방식으로 보나, 위생 습관으로 보나.그릇들이 치워지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바닥은 물론 천장에도 매달려 있었지요.가장 먼저 살펴본 건 ‘포니’예요. 포니는 1975년 한국에서 처음 대량으로 만들어진 승용차로, 우리나라에서도 자동차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 준 역사적인 차지요.“이건 나무로 만든 포니 자동차의 뼈대예요. 이를 ‘목형’이라고 해요. 요즘에는 자동차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