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합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비(非)-집중형 시스템, 즉 분산형 시스템(Decentralized system)을 생각해볼까요? 분산형은 전체를 관장하는 중앙의 존재를 걷어내고, 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하위 개체들이 자신의 행동을 직접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관제탑은 사라지고 각 비행기가 알아서 비행하죠. 분산형의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음속에 가까워집니다.” “끄으윽” 삼삼칠이 이를 악물고 살인적인 가속도를 버텼다. 생각보다 훨씬 더 고통스러웠다. 그만큼 훨씬 더 즐거웠다. 그는 속도에 중독됐다. 속도가 그를 자극하고 쉴 새 없이 몰아붙였다. 만약, 그가 느린 삶을 살거나 단 한 번이라도 질주를 멈춘다면, 갑자기 감당할 수 ... ...
- [똥손 수학체험실] 내 돈을 곱해줘! 오늘은 내가 투자 천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투자한다고? 용돈을 매주 1000원씩 받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 용돈을 4주 동안 하나도 사용하지 않고 저금하면 4000원, 10주 동안 모으면 10000원이에요. 일주일에 받는 용돈은 정해져 있으니, 돈이 짧은 기간에 갑자기 10000원으로 늘어나진 않지요. 이렇게 돈을 아껴 저금통이나 통장에 모아두는 방법을 ...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창시한 아이작 뉴턴을 떠올리면 물리학을 연구하는 사람이 당연히 수학도 연구한다고 생각하기 십상인데요. 뉴턴이 살던 17, 18세기를 너머 20세기에 접어들었을 땐 수학과 물리학이 각각 고도로 분화됐어요. 수학자와 물리학자는 마치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처럼 의사소통하기 어려워졌지요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그것이 연구에 영향을 끼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Q. 수학과 물리학은 어떤 관계라고 생각하나요? 양자장론은 수학적으로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워요. 지금까지 수학자들은 양자장론의 일부만을 엄밀하게 설명해냈어요. 그러나 양자장론은 많은 수학적 비밀을 담고 있어요. 이로 인해 지난 수십 년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알아내는 과제를 받았어요. 2달 정도 키운 어느 여름, 햇빛을 잘 받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수업 가기 전 자동차 뒷좌석 창가에 올려 뒀지요. 그런데 2시간짜리 수업을 마치고 차로 돌아가니 식물이 바짝 말라 죽어 있었습니다. 여름이라 차 안이 너무 더웠던 것이지요. 이 학생은 “과제이기도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진이 2003년 4월 네이처에 발표한 ‘유전체 연구의 미래에 대한 비전’은 오늘날의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이후부터 쭉, 유전체 연구는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을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흘러온 거죠. 올해의 마지막 과학동아 특집은 이런 ...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위로 수영하는 사람들이 평화로워 보였지만, 한때 사원이었던 곳이 바다에 잠겼다고 생각하면 마냥 감상에 빠질 수 없는 풍경이었다. 사원이 잠긴 가장 큰 이유는 ‘땅이 가라앉아서’다. 자카르타 사람들이 땅 밑에 저장돼 있던 지하수를 뽑아 쓰면서 지반 침하가 시작된 것이다. 자카르타의 무른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나중에 데이터를 보니까 로켓이 상공 약 500m에 닿았을 거란 결론이 나왔어요. 생각하면 500m는 엄청 긴 거리죠. 우사인 볼트도 1분은 걸려야 가는 거리잖아요? 12월 24일, 30km 목표로 또 한 번 도전기자: 여러분 모두 엄청 대단한 일을 했네요. 박수 한번 치고 이어갈까요. 정말 멋져요(짝짝짝). 그런데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성공을 했는지 목록을 적어보면 아마 성취가 더 많을 거예요. 우리는 실패를 엄청 크게 생각해서 실패에 짓눌려 있는 한편,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성공은 상대적으로 자주 있는 일이라 성공이 있었다는 사실조차 까먹거든요.“ 한 해가 마무리되는 12월입니다. 과학동아와 함께 실패와 직면하고, 작은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