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d라이브러리
"
은하수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직녀성과 독수리 자리의 견우성, 그리고 백조자리의 꼬리별 데네브를 중심으로 화려한
은하수
가 펼쳐져서 빛나며 우리의 시선을 기다리고 있다.이 달에는 아마추어들이 별을 보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시상과 투명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이달의 천문현상■ 천왕성의 충태양계의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별들이며 우리 태양도 이들 중의 하나다. 특히 많은 별들이 밀집되어 구름처럼 보이는
은하수
는 우리은하의 원반면쪽을 보고 있는 것이다. 약1천억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우리은하는 별과 별 사이의 평균 거리가 빛의 속도로 수년동안 달려야 하는 정도이며, 이 공간에는 별들을 탄생시킬 수 있는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태양계 너머에 있는 먼지가 천문학자들을 성가시게 하는 것은
은하수
에 포함된 먼지구름이 광학망원경의 시계를 희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파망원경은 그 먼지를 통과할 수 있다.먼지는 도움이 되기도 한다. 항성이 먼지구름을 밝힐 때에는 항성으로 형성되어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하늘에서조차 작은 파인더망원경상에서 작은 점으로 보일 정도의 밝기다. 이 성단은
은하수
의 일부에 속하기 때문에 눈으로 성단의 경계를 확인하는 것은 힘들다.실제 보이는 모습은 작은 망원경에서 약 20여개의 별들이 모여있는 밝은 얼룩으로 보이지만 망원경이 커질수록 좀더 흐린 별들이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은하들을 구별해낸 것은 몇십년 전의 일이다. 1944년에 윌슨산 천문대의 세이퍼트 박사는
은하수
보다 1백배 가량 밝은 나선은하(세이퍼트 은하)를 분석했다.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그는 그 핵에 있는 가스가 대단히 고온이며 엄청난 속도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오늘날에는 밝고 X선이 ... ...
우리은하는 얼음덩어리에서 출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구름의 중심부에서 별의 기본이 되는 물질들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그 말이 사실이라면
은하수
의 회전과 나선은하의 회전에 관한 설명이 가능해진다. 이미 수년 전에 천문학자들은 나선은하의 별들이 헤일로에 있는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의 중력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했다.사실 이 모델은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8월3일은 특히 날씨가 좋아 궁수자리 별들이 초롱초롱 빛났으며
은하수
가 뭉게뭉게 남북으로 뻗어 있었다고 관측일지에 기록했다. 운량은 0/10. 사진 결과는 광주 근교의 담양과 우열을 다루기 어려울 정도로 새까만 밤 하늘에 별들이 많이 찍혔다.부산은 환경처가 발표한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무한한 상상력으로 가을 별들의 신비를 밝혀보자.반은 염소, 반은 물고기9월에도 여전히
은하수
의 별들이 다른 별들을 찾는 좋은 지침이 되어준다. 여름철의 삼각형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독수리자리의 바로 남동쪽에 염소자리(Capricornus)의 희미한 별들이 있다. 염소자리는 커다란 역삼각형의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지나가고나서 어느 정도 먼지층이 제거되고 하늘이 갤 때면 평소에는 전혀 보이지 않던
은하수
도 보인다.보통은 공기가 맑고 깨끗한 시골이라도 대기중의 먼지는 항상 있게 마련이므로 이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먼지의 분포가 적은 고산지대나 불빛이 없는 장소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대도시의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거대한 시간척도를 따를 때 개방형 무리들이 비교적 짧은 수명을 갖고있는 이유는
은하수
를 따라 움직이며 먼지구름을 통과하면서 무리로부터 이탈하는 별들이 생기기 때문이다.가장 널리 알려진 개방형 별무리는 플레이아데스인데 좋은 눈을 갖고도 그 무리의 다른 3천여개 별을 보지못한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