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d라이브러리
"
은하수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X'(Planet X)로 명명 했다. 그러나 그가 탐색한 하늘의 방향에는 별이 빽빽이 들어서 있는
은하수
가 있었으므로 흐리고 작은 행성을 가려내기란 이만저만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결국 로웰은 발견에 실패하고 일생을 마쳤다.로웰이 죽은지 14년 후인 1930년 2월18일,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우(Clyde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니던 심부름꾼이라고 전하기도 한다.작은 별들이 구름처럼 무수히 모여 있는 여름의
은하수
속에는 우리들이 잘 모르는 조그마한 별자리들도 많이 있다. 그중 독수리자리 북쪽으로 견우와 직녀의 중간에 놓인 화살자리는 모양이 확실해서 약간만 주의를 기울이면 어렵지 않게 알아볼 수 있는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생각나게 하는 별들이다. 이들은 독수리자리로 불리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은하수
를 건너는 배로 여겨지기도 하였다.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독수리자리는 미소년 가니메데를 납치하기 위해 제우스가 변신한 모습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청춘의 여신 헤베는 신들을 위해 술을 따르는 일을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가지고 코쿤 서쪽 약 3°위치에 뻗어있는 암흑 성운을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암흑성운이
은하수
면과 밝은 성운 주위와 대조되기 때문에 두드러진 결과이다.세페우스 자리에 있는 NGC7023도 여름철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반사성운의 하나다. 그러나 이 천체는 대부분의 관측자들에게 잊혀져 있다.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달 분화구를"요즘 누가 달을 보며 계수나무 아래 떡방아 찧는 토끼를 상상이나 합니까.
은하수
니 반달이니 하는 말도 점점 사라져가고 있습니다만 별보는 이들에겐 서로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이 있습니다. 이를 지켜나가기 위해 기쁜 마음으로 망원경을 제작하고 있습니다."김한철씨가 망원경과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7.2등급의 광도로 보인다. 뱀자리 내에서 관찰하기에 가장 적합한 성단중의 하나다.
은하수
속의 별이 빽빽한 곳에 위치한 M19는 4인치로도 쉽게 보이는데 매우 심한 타원형 모습을 한 구상 성단이다.M19 남동쪽에는 거대한 암흑성운이 보인다. 성단이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한쪽 면이 평평하게 ... ...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끊임없이 그 정밀도가 높아져온 천문학용 기계들과 함께 이것은 보다 정확하게 머나먼
은하수
들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우주의 나이에 관한 보다 정확한 수치가 제시됨으로써 우리는 보다 정확하게 어떻게 은하계가 형성되고 뭉쳐졌는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따라서 지난 1987년의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 있는데 이곳은 우리 은하의 회전축과 평행한 선이 천구와 만나는 지점이다. 이 지역은
은하수
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하늘이기도 하다. 우리가 머리털자리에 있는 별을 볼 때 평평한 원반 모양을 한 우리 은하의 바깥을 직접 보고 있는 것이다. 이 사실은 이 부분의 하늘에 밝은 별이 없는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은하로서 그 준성과 우리사이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다. 다시말해 우리가 소속한
은하수
만큼 크거나 어쩌면 더 큰 은하라는 것이다.이러한 사실은 소위 '사라진 질량'에 관한 궁금증을 낳는다. 이는 천문학자들을 괴롭히는 두가지 수수께끼중의 하나이기도 하다.(다른 하나는 은하들이 태초에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또한 신성을 찾는데 이상적인 도구다. 우리 은하 속에서 폭발하는 신성을 찾으려면
은하수
가까운 지역들을 탐색해야 한다. 그러나 신성을 찾으려면 무엇보다도 탐색 지역의 별들에 대해 가족이나 친구만큼 상세히 알고 있어야 하는데, 수많은 별들 모두의 밝기와 색을 기억하기란 불가능하므로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