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d라이브러리
"
은하수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형성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큰 것이었다. 입자들은 스크린 속에서 구조를 형성, 빈 공간을 둘러싼 긴 완곡선 모양의
은하수
처럼 보인다. 간단히 말해서, 이 실험은 현재 실존하는 우주와 비슷한 모습을 만들어낸 것이다.물론 박창본씨가 이루어 낸 것은 해답의 시작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을 뿐이다. 보다 큰 우주를 대상으로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도시에서는 혜성의 코마정도를 겨우 볼 수 있지만
은하수
가 보이는 정도의 교외에 나가면 여전히 혜성 특유의 모습이 관측 될 것이다.■ 6월11일 이후태양으로 부터 더욱 멀어진 오스틴혜성은 지구와도 점점 멀어지고 있어 이제는 육안 등급을 벗어나게 된다. ... ...
인간에 도전하는 컴퓨터바둑 세계수준은 아마8급 정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별도의 상금으로 내걸었다.인공지능 기술을 응용'고수' '쾌남' '제비' '귀와 변' '
은하수
' '푸른 들' '맥'….이번 국내 컴퓨터바둑대회에 참가할 컴퓨터선수들의 명단이다. 현재 컴퓨터 바둑대회 운영본부(본부장 금문호)에 참가신청을 낸 선수는 33개팀. 이미 지난해 12월에 신청접수를 마감했는데 이들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올바로 이해하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 누구도 거스릴 수 없었다.갈릴레오(1564-1642)는
은하수
와 목성의 위성을 관찰하고 코페르니쿠스와 브루노의 생각이 실현되었음을 보았다. 또한 이러한 사실들은 일반인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1616년에 교회는 '태양이 정지해 있고 지구가 움직이고 있다는 ... ...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주위의 가까운 별을 삼키는 과정에서 많은 파가 나올 것이다.많은 물리학자들은 우리의
은하수
나 다른 은하들의 중심부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빛과 중력파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요컨대 중력파원으로는 이중성, 초신성, 중성자별의 회전, 블랙홀의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함을 뜻하게 된다. 더구나 북극성을 왕복 비행하려면 최소한 6백년이 걸려야 하고, 또
은하수
의 먼 끝쪽에 갔다오려면 최소한 15만년이 걸려야 한다. 만약 안드로메다(Andromeda) 성운계를 왕복 비행한다면 놀랍게도 최소한 5백만년이 필요한 것이다.따라서 과학소설가들은 그 작품세계를 태양계 안에만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등줄쥐의 폐장과 신장 조직세포 내에서 이때까지 보지 못한
은하수
처럼 빛나는 별들이 발견된 것이다.남들이 주목하지 않는 곳에서돌이켜 보건대 우리의 행운은 결코 우연한 것이 아니었다. 연구 중 병에 걸려 사경을 넘으면서도 포기하지 않았고, 실험에 쫓겨 밤잠을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은빛의 '카스토르'와 금빛의 '폴룩스'를 머리로 한다. 그리고 두 몸은 띄엄띄엄
은하수
로 연결되는 3등성과 4등성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쌍동이자리 역시 그리스신화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백조로 변신하여 날아온 제우스신과 스파르타의 왕비 '레다(Leda)' 사이에 태어난 쌍동이가 주인공인 ... ...
슈퍼노바 1987A에서 온 광자와 중성미자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보다 정밀한 증거로 증명 해준 셈이다.예일대학의'로렌스 크라우스' 교수는 '만약 우리
은하수
의 중력장이 두가지 입자에 다른 힘을 미쳤다면 두입자는 보다 큰시간 차이를 두고 지구에 도착했을것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갈릴레오의 실험결과에서 영감을 얻은 아인슈타인도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 ...
여름밤 별자리 찾아보기 우주의 신비에 빠져드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전설의 배경은 이렇다. 여름의 하늘을 가로지르는
은하수
를 보면서, 두개의 밝은 별을
은하수
가 갈라 놓았다고 생각한 것. 우리 조상(祖上)의 낭만(浪漫)이 여지없이 표출된다.우리나라에는 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1년만에 만나는 일을 도와주지 않고, 지붕위에서 놀고 있는 까치를 보면 돌을 던지는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