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적"(으)로 총 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과학동아 l2001년 06호
- 하나의 반도체 칩 안에 센서기능,전송기능, 기억기능, 논리연산기능 등을 입체적으로 집적한 스마트센서가 등장할 것이다. 사람의 세포가 감각을 느끼고 신경을 통해 뇌와 정보를 교환한 후 반응을 보인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미래의 스마트센서는 바로‘인공세포’가 아닐까 ... ...
-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꾼과학동아 l2001년 06호
- 발암물질을 측정하는 미생물센서도 제작이 시도되고 있다. 병원 안가고 진료받는다최근 집적회로(IC)기술을 이용해 바이오센서는 초소형화되며, 신호의 검출과 증폭, 그리고 처리를 한꺼번에 할 수 있도록 다기능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생선과 육류의 신선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이 선보이고 있다. ... ...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과학동아 l2001년 04호
- 크게 4가지로 나뉜다. 각 과제의 명칭은 테라급 나노일렉트로닉스(1천배 이상 메모리 집적도와 속도를 갖는 소자 개발), 스핀트로닉스(전자의 스핀을 이용한 메모리 응용 개발), 분자전자소자(분자를 이용한 소자 개발), 나노요소기술이며, 소과제와 최종 목표도 구체적으로 세분화돼 있다. 이번 ...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적용은 초기 단계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기능이밝혀진 유전자를 작은 판에 빼곡이 집적한 DNA칩의 반응으로부터 얻은 자료에 대한 데이터마이닝 작업을 통해 개인별 인종별 유전자 차이를 분석하는 단일염기다형성(SNP,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발굴 등 몇몇 분야에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만약 이를 이용해 수nm 정도 크기의 기억소자나 회로를 만든다면 집적도를 현재 최첨단의 집적회로에 비해 1만배 정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또 탄소나노튜브는 속이 비어 있어서 가벼울 뿐더러 탄소원자 사이의 결합력이 실리콘에 비해 강하다. 기존의 실리콘보다 쉽게 반도체를 만들 수 있을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보여주고 있다.소자들의 크기가 작아지고, 새로운 형태의 나노소자가 개발되면 현재의 고집적 회로 내의 트랜지스터 소형화에 따른 기술적, 경제적 문제가 모두 해결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새로운 연결 방법이나 작동 논리가 개발되지 않는다면, 나노소자의 ...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한편 광통신기술에서 더 나아가 미국 MIT 물리학과의 존 조안노폴로스 교수팀은 현재의 집적회로를 대신할 광학회로를 연구하고 있다. 빛의 정보처리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특정한 파장의 빛만을 투과하거나 반사하는 광학 스위치 역할을 하는 광자 크리스탈을 개발하고 있다. ...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개선돼 앞으로 15년 후에는 현재보다 약 1천배의 집적도를 갖게 될 전망이다.하지만 집적도에서 한계를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소자의 높은 전력소모로 인해 약 1.1GHz(기가헤르츠 = 109Hz) 이상의 속도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도체 소자에서 빠른 속도를 원할 경우 전력 소모 또한 커지기 ...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빠른 속도의 중앙처리장치(CPU)와 램(RAM)을 개발했다. 중반부터는 다양한 미디어 기술의 집적과 네트워크 구현을 통한 콘텐츠 개발로 이어졌다. 앞으로 진행될 디지털 시대는 그러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빠른 처리속도로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과 인간간의 관계를 개선시키는 인터페이스의 혁명을 ...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반도체가 실용화되려면 트랜지스터를 비롯한 소자를 어떻게 집적시키느냐가 관건이다. 집적의 문제는 중요한 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는 실리콘 반도체의 성능이 포화에 다다를 2010년경에는 탄소나노튜브가 차세대 반도체로서 자리매김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 지하철도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