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스페셜
"
세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미·IAEA "안전기준 부합" 옹호
동아사이언스
l
2021.04.13
강건욱 서울대 의대 핵의학교실 교수는 “삼중수소의 방사선
세기
는 다른 핵종의 방사선
세기
의 600분의 1 정도로 일반적으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며 “일본이 발표한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의 10분의 1만 희석해도 문제가 없는 범위지만 태평양에 방류하면 1조 분의 1 정도로 희석될 ... ...
[인터뷰]"AI 연구기지 수리연구소 본래 가치 인정 받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3
감염병 확산 예측 모델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김 소장은 “한국은 20
세기
후반 지식정보 기반의 3차 산업혁명을 통해 과학기술 연구에서는 급성장했지만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며 “4차 산업혁명은 하드웨어가 아닌 인재 중심의 소프트웨어와 AI가 원천기술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상한 감마선 폭발의 정체를 쫓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위치가 기존에 관측했던 감마선 폭발 장소보다 가까웠고 감마선 폭발로 방출된 빛의
세기
가 훨씬 크고 마이크로초(1마이크로초는 100만 분의 1초) 단위로 변했다. 케빈 헐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 우주과학연구소 연구원과 드미트리 스빈킨 러시아 이오페연구소 연구원을 포함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스타 과학자의 장례식과 과학의 진보
2021.04.08
과학분야의 경계를 만드는데 기여한다는 점을 알려준다” ‘보이지 않는 대학’은 17
세기
귀족 과학자 로버트 보일이 만든 과학자 네트워크로, 영국에 존재하던 과학자들의 보이지 않던 네트워크를 뜻한다. 당시 영국은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에 놓여 있었는데, 보일은 과학자들이 정치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만 들리면 오른쪽 꼭지에 주둥이를 대야 물이 나오는 걸(가운데) 배운 생쥐에게 신호음
세기
를 변화시키면서 테스트를 하면 가끔 신호음이 없을 때도 왼쪽 꼭지에 주둥이를 댄다(오른쪽). 분석 결과 선조체의 도파민(striatal DA) 수치가 올라갈 때 환청이 들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이언스 제공 ○ ... ...
[이덕환의 과학세상]'김치의 진정한 세계화'를 위한 전략
2021.03.31
윤동주도 ‘중국 조선족’으로 둔갑시키는 모양이다. 물론 민주화·세계화를 꿈꾸는 21
세기
의 지구촌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부끄럽고 퇴행적인 행태다. 중국의 거친 동북공정과 일본 극우파의 혐한에는 단호하고 확실하게 대응해야 한다. 한 치의 양보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 ...
창립 반
세기
맞은 재미과협...50주년 기념 학술대회·출판기념회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 제공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재미과협)는 31일 협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기념 학술대회와 재미과협 50년사 출판기념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재미과협은 1971년 1월 고 최형섭 당시 과기처장관의 추원으로 창립됐다. 학술교류와 기술이전, 과학자 양성, 자문활동 등을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시적 망각은 어떻게 생길까
2021.03.30
한다. 그렇다면 일시적 망각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망각의 두 가지 형태 20
세기
까지만 해도 기억 연구는 주로 기억의 형성과 강화(응고화), 인출 과정을 규명하는 연구였다. 망각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기억의 상실이라고 여겨졌다. 그리고 여기에 설단 현상 같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자화상
2021.03.25
논문은 1967년에 출판되었지만, 과학자사회는 이들의 주장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은채 21
세기
를 맞이했다. 하겐스와 핵스트롬의 1967년 논문은 이미 20
세기
중반 미국에서 과학자사회의 계층화와 불평등이 진행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과학계의 엘리트 주의, 그리고 비과학적인 메커니즘 ... ...
[프리미엄 리포트] 반복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대량 살처분만이 정답일까
과학동아
l
2021.03.20
관습 때문에 예방적 살처분이 이뤄진다는 비판도 있다. 살처분은 별다른 대안이 없던 18
세기
영국에서부터 가축 감염병 대응을 위해 시행된 방식인데, 현재 다양한 대안이 마련돼 있고 살처분 수를 최소화할 수 있음에도 편의 때문에 살처분 위주 정책을 펴고 있다는 것이다. 윤종웅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