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캘리포니아대, 버지니아공대 등과도 학술 교류를 하고 있다. 사실 외국대학과
우리나라
대학의 학사운영시기가 달라서 교류가 쉽지 않다. 조 총장은 “UNIST는 미국 등 해외대학의 학사운영 시기에 맞춰 1년 3학기제를 운영한 ”고 밝혔다. 한 학기가 짧다보니 공부해야 하는 양이 늘어나서 힘들지 ... ...
학기초 공부계획 꼭 성공하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자기반성의 시간을 가지면 매우 좋습니다. 예를 들면, ‘이번 주에 과학 선행학습을
우리나라
의 지질까지 하기로 했는데, 내용은 다 봤지만 문제에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다음 주에는 문제를 반복해 푸는 것을 추가해야겠다. 그리고 영어 독해가 생각보다 많이 익숙해져서 다음 주에는 다른 ... ...
적정기술, 36.5℃의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다렸다는 듯 반가운 얼굴로 모두 물통을 들고 뛰어나온다. 먹을 물이 부족한 이 마을에
우리나라
기업에서 해수담수화기술로 만들어낸 물을 공급하는 차였다. 해수담수화기술이란 바닷물에서 염분을 제거해 먹고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드는 기술이다. 물이 부족한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더없는 ... ...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우리나라
전통혼례에는 신랑신부와 같이 등장하는 새 한쌍이 있다. 나무로 조각한 원앙이나 기러기 쌍이다. 신랑 들러리는 이 조각을 들고 신랑신부 앞에 서서 입장한다. 친정 엄마는 시집가는 딸에게 원앙을 수놓은 이불과 베개를 주는데 원앙금침이라 한다. 새 출발을 하는 신랑신부에게 원앙과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연합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농장을 이어받을 아들의 중요성이 커진다.그러나
우리나라
의 아들 선호 사상도 예전 같지는 않다. 요즘에는 딸을 지극히 아끼는 아빠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을 가리켜 부르는 ‘딸 바보’라는 별명도 생겼다. 전 교수는 “사회가 불평등할수록 남자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부르고 춤을 춘다. 마다가스카르 동쪽에 위치한 팡갈란 운하에서 밤하늘을 찍었다.
우리나라
에서 보던 별자리는 보이지 않는다. 달의 모습도 우리가 보던 것과는 위아래가 바뀌어 있다. 정말로 지구가 둥근가 보다.팡갈란 운하의 끝자락은 걸어서 건너도 될 정도로 얕다. 모래톱 너머로 인도양의 ... ...
고흐 그림처럼 흐르는 세계 해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순환과 기후 측정2(ECCO2)’라는 컴퓨터 모델로 동영상을 만들었어요. 신기하게도
우리나라
주변 바다는 다른 지역에 비해 잔잔히 흐르고 있네요.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에서 동영상을 감상하세요 ... ...
천문대장이 선물하는 최고의 천체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특별한 선물을 보내셨어요. 과연 어떤 선물일까요?두 개의 별이 뜨는 행성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천문대인 소백산천문대장, 이동주 박사예요. 저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두 개의 태양이 뜨는 외계 행성계를 선물하고 싶어요. 바로 소백산천문대에서 세계 최초로 발견한 외계 ... ...
앗! 내알이 어디갔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 왼쪽으로 꺾으면 ‘공룡나라식물원’이 있어. 고대 바나나, 올리브, 보리수나무 같이
우리나라
에 서 쉽게 볼 수 없는 식물이 가득 차 있어. 거기에 숨자~! 울레미소나무는 공룡이 번성했던 쥐라기시대부터 생존해 온 가장 오래된 식물입니다. ‘공룡소나무’라고도 하지요. ‘울레미’는 이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보호하기도 쉽지가 않지.수원청개구리는 전세계 어디에도 없는
우리나라
고유종이야.
우리나라
에서 멸종된다면 나를 어디에서도 볼 수 없단다. 하지만 내가 살고 있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북부 지역은 빠르게 개발되고 있어. 실제로 2009년 경기도 평택시의 논에 수원청개구리가 살고 있다고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