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명중! 사격과 양궁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쏘며 탈락했다.반면 사격은 예선 점수가 결선에도 영향을 미치는 누적 점수 제도다.
우리나라
가 금메달과 은메달을 모두 차지한 ‘남자 50m 권총’ 종목에서는 예선 점수(10점 만점×60발)와 결선 점수(10.9점 만점×10발)가 더해져 금메달이 결정된다. 이번 대회에서는 예선전까지 은메달을 차지한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이름은 같지만 뜻하는 수는 차이가 있다. 수 이름이 현재처럼 바뀐것은 19세기 이후다.
우리나라
에서 사용하는 큰 수의 명칭은 일부터 무량수까지 총 21가지다. 이 중 항하사부터 무량수까지는 불교에서 유래됐다. 항하사는 인도 갠지스 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셀 수 없이 무수히 많은 양을 뜻한다. ... ...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우리나라
전통혼례에는 신랑신부와 같이 등장하는 새 한쌍이 있다. 나무로 조각한 원앙이나 기러기 쌍이다. 신랑 들러리는 이 조각을 들고 신랑신부 앞에 서서 입장한다. 친정 엄마는 시집가는 딸에게 원앙을 수놓은 이불과 베개를 주는데 원앙금침이라 한다. 새 출발을 하는 신랑신부에게 원앙과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도시를 질주하는 무인자동차 대회인 ‘DARPA 어번챌린지(Urban Challenge)’를 개최했다.
우리나라
에서도 무인자동차를 개발해 온 연구자가 있다. 고려대에서 무인자동차를 개발해 온 한민홍 교수는 벤처기업 ‘첨단차’를 창업해 무인자동차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한 교수팀은 직접 개발한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부르고 춤을 춘다. 마다가스카르 동쪽에 위치한 팡갈란 운하에서 밤하늘을 찍었다.
우리나라
에서 보던 별자리는 보이지 않는다. 달의 모습도 우리가 보던 것과는 위아래가 바뀌어 있다. 정말로 지구가 둥근가 보다.팡갈란 운하의 끝자락은 걸어서 건너도 될 정도로 얕다. 모래톱 너머로 인도양의 ... ...
우유니의 은빛 거울이 스마트폰이 되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대상으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리튬과 희토류, 그리고 우라늄 원료 모두 미래의
우리나라
에는 둘도 없이 중요한 자원이다. 이들 자원으로 풍요로운 미래를 만드는 데 우리의 기술과 혜안이 중요한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 ...
초대륙 아마시아가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러시아 일대까지 이어지는 초대형 단층대를 따라 땅이 갈라지고 함몰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의 지형은 호주와 일본열도의 충돌대로부터 압축을 받아 폭넓은 산악지대가 될 것이다. 한강, 압록강을 비롯해 현재 존재하는 강의 발원지와 지류, 강의 본류 등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남쪽의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토착 조랑말의 피가 섞이면서 토착화한 품종으로 보인다.제주대 강민수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에 있는 말 3만5000두 가운데 제주마가 1만 두 정도 된다”며 “제주마는 키가 작고 보폭도 짧기 때문에 편안한 승마를 즐기려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고 말했다. 지구력이 뛰어난 건 근육이 대부분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수 없을 것이다. 이 경우에 미래 중국의 식량 사정은 지금보다 훨씬 나빠질 것이다.
우리나라
에도 그 여파가 미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중국 이모작이 현재는 더 강한 장마를 부를 뿐이지만, 미래에는 장마보다 더 무서운 식량 부족을 부를 수도 있으니까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본인이 넣은 건가요?”그도 그럴 것이, 원문에는 ‘사람’을 의미하는 인(人) 자가 없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읽는 주자 주석의 논어는 이 대목을 사람이 아니라 학문과 진리에 대한 이야기로 푼다.질문에 답은 해야겠기에 “일본 학자의 독창적인 해석”이라고 하고 넘어갔지만, 문득 의문이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