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었다. 지난해 스위스 취리히대 연구진은 미국의 슈퍼컴퓨터 ‘타이탄’(27.1PF)을 이용해 입자 2조 개로 우주 진화 시뮬레이션 기록을 세웠다. 김 교수는 “기록 경신을 위해 누리온으로 입자 수를 최대 3조 개까지 늘려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천문연구원은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무선 기기를 이식했다. 그 결과 세 명 모두 일주일 만에 다리를 움직였고, 보조 장비를 이용해 보행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그레고르 쿠틴 로잔연방공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조슬린 블로흐 로잔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신경 치료 기술을 ...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알고리듬을 이용했습니다. 각 경기장에서 경기가 있는 날과 경기 시간을 데이터로 이용했죠. 그 결과 24.8일 동안 약 4989km를 이동하는 경로가 최적의 답으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집념의 야구팬들이 이 어려운 일을 먼저 해냈습니다. 2008년 조시 로빈슨은 자동차로만 30곳의 야구장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찾는 문제는 이미 한참 전에 해결됐습니다. 미국 수학자 도로시 본이 위상수학의 방법을 이용해 멋지게 증명했지요. 원하는 모양의 사각형은 없을까? 가로세로 비율이 3인 직사각형도 항상 있을까요? 현재 수학자들은 원하는 가로세로 비율이 되는 직사각형도 반드시 있는지 연구를 하고 ... ...
- part 2. 최석정 마방진의 비밀은 ‘대칭’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방법은 무려 8가지랍니다. 제가 어떤 연구를 했는지 눈치 채셨나요? 맞습니다. 대칭을 이용해 직교라틴방진을 만들어 본 것이죠.대칭에는 8가지가 있습니다. 좌우, 위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는 대칭, 시계방향으로 각각 90°, 180°, 270°, 360° 회전하는 대칭이지요. 이제 한 가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 ...
- [알고리듬 시그널] 공개 키 암호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키는 ‘공개 키’,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는 ‘개인 키’죠. 공개 키는 개인 키를 이용해서 풀 수 있는 복잡한 수학 문제로 이뤄져 있어요. 예를 들어 가장 널리 쓰이는 공개 키 암호의 한 종류인 ‘RSA 암호’는 소인수분해 문제를 활용해 키를 만들어요. 두 소수를 정해놓고 곱셈을 하는 건 쉽지만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 씨는 “최근 전공 설계 수업에서 고분자를 이용한 태양전지를 배웠다”며 “고분자를 이용한 연료전지나 태양전지를 설계하는 일에 관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전 씨는 예비 수험생들을 위한 격려도 잊지 않았다. “고등학교 1, 2학년 때 모의고사 성적이 그다지 좋지 않아서 정시로는 좋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도시가 운영 중이다. 일반 자동차의 시내 이용을 금지하고, 그 동력으로 재생에너지만 사용하는 아랍에미리트(UAE)의 마스다르, 풍력발전 사업으로 차세대 그린 에너지의 가능성을 입증한 일본의 타치카와, 전기버스 운행과 보행자를 위한 다리 건설 등 ... ...
- [가상인터뷰] 곰팡이를 재배해 먹는 개미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00종 이상의 개미들이 곰팡이를 재배해요. 하지만 다른 개미들이 죽거나 썩은 잎을 이용해 곰팡이를 키우는 반면, 우리 가위개미는 갓 자른 신선한 잎에 곰팡이를 키운답니다.그리고 우리는 다른 개미들과 달리 수백만 마리가 모여 엄청나게 큰 집단을 이루어 살고 있어요. 지구에서 인간 다음으로 ... ...
- [과학뉴스]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제임스 클락 MIT 항공우주학과 연구원은 “레이저를 이용해 초당 수백 비트의 속도로 간단한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doi: 10.3847/1538-4357/aae38 ... ...
이전287288289290291292293294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