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40년 난제 ‘골드펠드 추측’ 실마리 찾았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스미스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대학원생은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BSD 추측)을 이용해 골드펠드 추측을 증명했습니다. BSD 추측이 참이라고 가정하면 골드펠드 추측도 성립한다는 사실을 밝힌 겁니다. 골드펠드 추측은 타원곡선이라 불리는 3차식에서 계수를 제곱근으로 바꿨을 때 ...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말했지만 도시 수가 많아지면 경우의 수가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에 아무리 컴퓨터를 이용한다고 해도 계산하는데 매우 긴 시간이 걸립니다. 계산을 조금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우리는 ‘분기한정법’이라는 알고리듬을 찾았습니다. 이름은 어렵지만 원리는 간단합니다. 최적의 답이 될 ... ...
- [별난이름 정리] 미술관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학자 바츨라프 흐바탈은 ‘삼각형 분할’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삼각형 분할을 이용하기 위해서 흐바탈을 미술관을 모든 벽이 선분으로만 이뤄져 있고, 교차하지 않으며 중간에 텅 빈 홀이 없는 단순한 다각형 모양의 건물로 가정했습니다. 미술관을 살피는 보안 요원들은 일단 자리가 ... ...
- part 2. 최석정 마방진의 비밀은 ‘대칭’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방법은 무려 8가지랍니다. 제가 어떤 연구를 했는지 눈치 채셨나요? 맞습니다. 대칭을 이용해 직교라틴방진을 만들어 본 것이죠.대칭에는 8가지가 있습니다. 좌우, 위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는 대칭, 시계방향으로 각각 90°, 180°, 270°, 360° 회전하는 대칭이지요. 이제 한 가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풀 때 무척 유리하겠죠? 평면도형의 넓이는 보통 도형의 변의 길이를 이용해 구할 수 있어요. 두 도형이 닮으면 변의 길이가 서로 관련 있고 변의 길이는 넓이와 관련 있으니까, 닮은 도형의 길이의 비와 넓이도 관련 있지요. 한 도형의 각 변을 n배 했으면 넓이는 n2배가 됩니다. 그래서 ... ...
- [가상인터뷰] 곰팡이를 재배해 먹는 개미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00종 이상의 개미들이 곰팡이를 재배해요. 하지만 다른 개미들이 죽거나 썩은 잎을 이용해 곰팡이를 키우는 반면, 우리 가위개미는 갓 자른 신선한 잎에 곰팡이를 키운답니다.그리고 우리는 다른 개미들과 달리 수백만 마리가 모여 엄청나게 큰 집단을 이루어 살고 있어요. 지구에서 인간 다음으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의 기본, 알고리즘을 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어요. 종이 카드로는 할 수 없는 이동거리, 회전 각도 등을 조절할 수도 있지요. 앱을 이용하면 ‘뮤직 코딩’과 ‘댄스 코딩’도 해 볼 수 있어요. 앱으로 음악을 작곡하고, 안무를 만든 뒤 스마트폰 위에 코딩펫 밀키를 올려 놓으면 코딩펫이 내가 작곡한 노래를 불러 주고, 내가 만든 춤을 ... ...
- [과학뉴스] 눈병 고치는 초소형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투여할 수 있다. 그동안 황반변성이나 당뇨망막병증 등 안과질환을 치료할 때는 안약을 이용하거나 주사를 통해 안구 내부에 직접 약물을 투여했다. 하지만 안약은 안구 내부까지 약물을 전달하기 어렵고, 주사로 약물을 직접 투여하는 것은 사고 위험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정현호 독일 ...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으로 걸어 들어가면 빛은 사방으로 무한히 뻗어나간다. 관람객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무한 크리스탈 우주’에 맵핑되는 별 또는 별자리를 선택할 수 있다. 화면에서 마음에 드는 별이나 별자리를 고르면, 그 모양으로 ‘무한 크리스탈 우주’가 구성된다. 심도 감지 카메라가 공간을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기여해 각국 대표들의 의사 결정을 도왔다. 기계적 일률과 전기적 일률이 같다는 원리를 이용해 플랑크 상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키블 저울(Kibble Balance)’을 자력으로 개발한 것이다. 박 원장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키블 저울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세계 5위권에 든다”며 “3년 내에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