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focus] 포스텍 수학과 김민형 교수, ‘호암상’ 수상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대학과
우리나라
대학 두 곳에서 정년이 없는 연산석좌교수를 모두 제안 받은 교수는
우리나라
에서 처음”이라며, “김민형 교수의 연구는 산술 기하에서뿐만 아니라 순수 수학 전체에서 21세기 최고의 업적”이라고 평가했다.호암상 시상식은 6월 1일 호암아트홀에서 이뤄지며, 수상자들에게는 3억 ... ...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중시하는 유럽 일부 지방도 마찬가지다. 반면 1994년 한국의 모습과 지금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가 얼마나 현기증 나는 속도로 변해왔는지 실감이 날 것이다.카메라는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에 더 눈길이 간다.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많은 지방에서는 지금도 영아사망율이 높다. 사진에 등장한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숫자를 지속적으로 늘려 나가고 있다. 한반도 하늘 지키는 현무 시리즈
우리나라
는 어떨까. 최근 한국군은 근거리 탄도탄 ‘현무’를 비롯해 신형 탄도탄 ‘현무2(최대사거리 300km)’와 사정거리 1500km 수준의 순항미사일 ‘현무3’를 실전에 배치했다. 군은 휴전선 인근에 현무2를 배치하면 북한 지역 ... ...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기대수명에 얼마나 악영향을 미치는지’를 마이크로라이프 방식으로 해석한 결과다.
우리나라
에서 만 20세 남녀의 평균수명의 차이는 약 6년, 즉 10만 5120마이크로라이프다. 이를 남자의 평균기대수명인 2만 8470일로 나누면 남자이기 때문에 하루에 잃는 수명이 3.7마이크로라이프라는 계산이 나온다. ... ...
아리랑 3호 세계와 겨룰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5월 18일 새벽,
우리나라
의 세 번째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3호’(오른쪽)가 일본 규슈 남단 가고시마 현 다네가시마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아리랑3호는 고성능 광학 카메라를 지닌 지구관측 위성으로, 가로세로 70cm 크기의 물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전세계 다목적 광학 관측위성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뇌에 직접 전극을 꽂는 실험이 허가된 곳은 세계에서 미국과 중국 단 두 곳뿐이다.
우리나라
에서는 사람 대신 동물로 실험을 하고 있다. 그 중 한림대 의대 신형철 교수의 ‘슈퍼독’이 유명하다. 신 교수는 개의 뇌에 전극을 이식해 개의 뛰어난 후각을 통해 얻은 냄새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만드는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현실 세계의 혜택은 기초 연구에서 물거품처럼 솟아나오는 일이 잦기 때문이다(74쪽).”
우리나라
에서 꿀벌의 배설물을 연구하겠다고 하면 연구비를 타기는 커녕 이상한 사람 소리만 안 들어도 다행이다. 아니 이런 걱정조차 필요없을지 모르겠다. 곤충 연구 자체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는 ... ...
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온도가 5개월 이상 평년보다 0.5℃ 낮은 것을 말한다. 라니냐가 발생한 1967년과 1973년
우리나라
의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1~2.2℃ 낮았으며 강수량도 적고 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졌다.해수면 온도가 단 0.5℃ 낮아진다고 이렇게 기후변화가 커질까.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바닷물이 담을 수 있는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것이 맨틀의 대류를 일으켜 새로운 해양지각이 형성된 것이 동해라는 것이다.그러나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설명도 완벽하게 증명하려면 해저 지각을 15km 이상 뚫어봐야 한다. 맨틀층에 가까운 정도로 해저 지반을 뚫어서 조사해 봐야 동해의 형성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km ... ...
6000만 년 전 악어 잡아먹는 거대 거북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크기가 경차만한 포악한 거대 거북의 모습이 복원돼 처음 공개됐다. 목이 긴 모습이
우리나라
고구려 벽화에 나오는 현무를 닮았다.댄 크세프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해양지구대기과학과 교수팀은 2005년 발견된 파충류 ‘카보네미스 코프리니이(Carbonemys cofrinii)’의 뼈 화석을 복원하고, 생활사를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