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수화물이 정말 비만의 주범일까
2021.05.18
중성지방이 만들어져 쌓인다. 그 결과 혈액에는 연료인 유리지방산 수치가 떨어져 근육
세포
는 오히려 굶주린 상태가 되면서 대사율이 떨어지고 식욕이 올라가 더 먹게 된다. 탄수화물 위주로 먹으면 살이 찌면서도 배가 고픈 악순환의 고리에 들어선다는 말이다. 이들은 1980년대 개정된 미국 ... ...
KAIST,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비만 일으키는 기제 밝혀
연합뉴스
l
2021.05.17
및 DB 금지] 이어 조현병 모델 생쥐에서 리스페리돈과 함께 멜라노코르틴 반응성 신경
세포
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식욕 억제제 '세트멜라노티드'를 처치한 결과 식욕이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세트멜라노티드는 지난해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비만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2021.05.17
만들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이 RNA 유전체를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 숙주
세포
에 주입하면 RNA로부터 바이러스 단백질이 번역되고, 유전체가 복제되면서 변이 바이러스가 생산된다(Xie et al., 2020). 필자가 속한 연구팀은 이렇듯 nsp2 변이 바이러스를 이용해 nsp2 기능을 규명하고 바이러스를 ... ...
"가습기 살균제 성분 'PHMG-P', 천식 증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중 호산구만 크게 증가하는 등의 양상을 보였으나 PHMG-P군은 lgE의 관여가 낮고 염증
세포
가 고르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규홍 단장은 “PHMG-P로 유발된 천식이 전형적인 알러지성 천식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며 “PHMG-P 성분이 함유된 가습기 살균제 제품 사용으로 인한 천식 발생의 근거 ... ...
백신 혈전증 인종별 왜 다른가 했더니…의학연구용
세포
주 95% 유럽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수 많은 의학 연구에 사용되는 인간
세포
주의 95% 유럽계다. 호주 아동의학연구소 제공 지난 3월 기준 영국 보건당국에 따르면 영국 내 1700만명 이상의 신 ...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정밀의학’도 결국 유전자만이 아닌 그 기능이 발현된
세포
를 분석해야 성취 가능하다”고 밝혔다. ... ...
"의사 중 3% 의사과학자로 육성하면 바이오 분야 격변 일어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프로젝트를 이끈 프랜시스 콜린스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소장이나 유도만능줄기
세포
(iPS)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교수가 대표적이다. 데이비드 후앙 하버드의대 교수는 광간섭단층촬영(OCT)을 망막 검사에 처음 적용해 생검에 의존하던 망막 검사 패러다임을 바꾼 ... ...
전세계 13대뿐인 ‘중입자 암 치료기’ 2년 뒤 국내 첫선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가속시킨 방사선을 이용한다. 중입자는 탄소 원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한 빔을 암
세포
에 조사한다. 탄소가 수소에 비해 무겁기 때문에 적은 방사선량으로도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기존 방사선 치료로 치료가 어려웠던 난치암 치료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전세계에서 운용중인 ... ...
급부상한 코로나 백신 지재권 면제...국내서 자체 생산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1.05.14
보호하는 지질나노입자(LNP) 기술도 빼놓을 수 없다. mRNA는 분자가 불안정하고 크기가 커
세포
막을 통과하기 어려운데 이를 해결한 게 LNP 기술이다. LNP 제조 기술은 미국 아뷰투스와 영국 제네반트 등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화이자나 모더나도 아뷰투스의 LNP를 도입해 쓴다. 홍기종 대한백신학회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글로벌 100대 혁신 기업’ 트로피 수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약물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나노반응기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나노반응기는
세포
나 생체에 나노입자를 넣고 생체 내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인공적인 화학반응을 유도하는 장치다. 연구팀은 개발한 나노반응기로 안압 및 뇌압 감소 약물인 D-만니톨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 ...
[의학게시판] 은영규 경희대병원 교수, 합병증 1% 아래 갑산성암 수술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재단은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교수가 설립했으며, iPS
세포
를 이용한 임상적용과 실용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재단이 해외 연구팀과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동연구의 한국 측 책임자는 송지환 의생명과학과 교수가 맡았다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