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8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연구팀 ‘남극이빨고기’ 유전체 전체 세계 최초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낮은 온도에서 지방이 굳는 것을 막고 일상적인
세포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진화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에 따르면 2019~2020년 남극이빨고기 총 어획량인 약 4169t(톤) 중 우리나라의 어획량이 1139t으로 가장 많은 남극이빨고기를 ... ...
정은경-앤서니 파우치 "mRNA 백신 기술협력 강화 공조"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체내 면역
세포
가 여기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메신저RNA 백신은 바이러스나 그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보다 훨씬 생산하기 쉽다는 게 장점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국의 무증상 감염자에 대한 선제적 ... ...
루게릭병 막는 신경보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돌아오는 것이다. 임 교수는 “기존에 그 연관성이 알려지지 않았던 두 유전자가
세포
내 RAN 단백질의 분포를 조절하는 유전자 경로를 구성한다는 사실을 밝혔다”며 “루게릭 병, 전측두엽 치매와 같은 관련 질환의 예측과 치료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노화 과정의 분자생물학적인 이해를 위한 ... ...
한국 구매 협상 중인 노바백스 백신, 미국·멕시코서 임상 3상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이용하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과 달리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다. 코로나19가 숙주
세포
에 침입할 때 핵심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물질을 이용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직접 생성한한다. 여기에 면역증가제를 섞어 나노 입자 형태로 체내에 투입해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 ...
식약처 “셀트리온 항체치료제 허가 심사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결합할 인체
세포
결합 영역(RBD)에 대신 결합해 바이러스의 인체
세포
침투 자체를 막는다.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주가 코로나19 경증부터 중등증까지 효과가 있으며, 90분간 정맥에 투여하는 주사제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주 생산에 돌입했으며, 내년에는 150만~20 ... ...
ISS는 과학논문 제조공장…1년새 쏟아진 논문만 300편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014년 11월 23일부터 2015년 6월 11일까지 ISS에 머무르는 동안 뼈를 만드는
세포
인 조골
세포
형성을 촉진하고 골 접착력을 높이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나노 입자 속 칼슘(Ca) 이온을 스트론튬(Sr) 이온으로 바꾸면 효능이 더 높다는 사실을 미세 중력 실험을 통해 알아냈다. 가이 트루델 미국 캐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오른쪽)와 어머니(가운데), 외할머니의 생물나이가 25살에 멈춰있다. 개체 수준의
세포
재프로그래밍 기술이 완벽히 구현된다면 불가능한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20세기폭스코리아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주한미군이 공개한 백신접종 전에 알아야 할 사실
2020.12.29
스파이크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체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에 대응해 체내 면역
세포
가 항체를 만든다. 이 항체가 실제 코로나바이러스도 막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체내에 바이러스를 주입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백신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들어있지 않다. 백신이 사람을 코로나19에 ... ...
코로나19로 힘들던 올해 한국의 기초과학 이들 덕분에 빛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암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입증해냈다. 전 선임연구원은 치매의 원인이 중증 반응성 별
세포
에서 과량 만드는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임을 밝혀냈다. 의약학 부문에서는 김형범 연세대 의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김 교수는 염기교정용 유전자가위의 안전성을 높일 실마리를 찾아 국제학술지 ... ...
英 변이 바이러스 어떻게 찾아냈나…유전체 염기 3만 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밝혔다. 501번째 아미노산 변이는 N501Y로 표기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인간
세포
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를 수용체 결합 부위(RBD)라고 부르는데, N501Y는 RBD의 501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티로신(Y)으로 바뀌는 변이가 일어났다는 뜻이다. 방대본은 이 변이 바이러스가 코로나19 바이러스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