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방면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더불어 암줄기세포가 가진 줄기세포의 특징을 교묘하게
이용
하는 치료법도 개발 중입니다. 가령 암줄기세포들이 더 이상 줄기세포로 남아 있지 않고 다른 세포로 분화하게끔 유도한 뒤 일반 항암 치료를 통해 이들 세포를 죽이는 겁니다. 또한 줄기세포들이 분화하지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최적의 비율을 찾아 나간다. 시료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섞는 ‘로보틱 프린터’를
이용
해도 꼬박 일주일이 걸린다. 연구진은 일주일 뒤 또 다른 금속을 또 다른 비율로 섞기를 반복하며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유 교수는 “40~50년 전에 비해 백금의 비율을 100분의 1로 줄였지만, 내연기관과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알려주는 거예요. RSA 암호의 핵심은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게 어렵다는 걸
이용
한 것이므로 리만 가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설령 소수를 전부 찾을 수 있어도 소인수분해는 다른 문제”라며, “리만 가설이 풀리면 증명 과정에서 나오는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777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들어 4박자를 표현할 때 1박을 4번 표현해도 되고 0.5박씩 8번을 표현해도 된다. 수학을
이용
해서 좋은 리듬을 만들 순 없을까? 앤드루 밀른 호주 시드니대학교 MARCS 뇌행동발달연구소 연구원은 힙합, 재즈 같은 장르에서 쓸 수 있는 리듬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밀른 박사는 한 리듬은 서로 ... ...
[이달의 사물] 컴퓨터용 사인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OMR(Optical Mark Reader)이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색깔이 검은색이기 때문입니다. OMR은 빛을
이용
해 정보를 확인합니다. 빛이 흡수되는 부분을 읽어내는 방식이어서, 빛을 잘 흡수하는 검은색 잉크를 사용해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이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튜링 모형으로 설명됩니다. 2014년 머레이 교수는 상처가 아무는 과정을 튜링 모형을
이용
해 밝혔거든요. 새롭게 분열하는 건강한 세포와 죽어나가는 세포가 각각 확산제와 억제제 역할을 합니다 ... ...
[수학뉴스]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응용수학과 교수팀이 곤충의 날개 무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
해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잠자리 목에 속하는 곤충 232종의 날개 무늬 468개를 분석했습니다. 각 날개를 현미경으로 확대해 촬영한 뒤 그 형태와 면적 등을 분석했습니다. 그결과 연구팀은 잠자리의 날개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7년이나 걸렸습니다. 1998년 토마스 헤일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컴퓨터를
이용
해 3차원 공간에서 배열된 구 밀도의 최댓값이 피라미드 모양일 때 성립한다는 것을 밝히면서 케플러 추측이 ‘추측’이 아닌 ‘사실’이란 걸 증명해 냈죠. 그렇다면 구가 아닌 다른 모양일 때는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제대로 공급받지 못한 미숙아에게 시력 장애가 생기는 이유”라며 “망막 오가노이드를
이용
해 색채를 구별하는 능력과 황반변성, 색맹 등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u6348오혜진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 연구팀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
해 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프로그램에 영상을 입력하면 영상 속 피사체의 골반이나 무릎, 발목 등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변환한 뒤 이 점들을 이어 3D 골격을 만든다. 이어서 3D 골격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