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기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chat]윤성호_ 과학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가상현실(VR)을
이용
한 가상 동물원은 어떨까요?최근에는 3D와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동물원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오비 요코하마’는 3D 안경을 쓰고 영상으로만 동물을 만나는 동물원입니다. 지난해 3월에는 스페인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레이저와 물질이 만나면 물질이 순식간에 이온화하면서 플라스마 상태가 된다. 이를
이용
하면 우주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물리 현상을 레이저로 연구할 수 있다. 대형 입자가속기처럼 초강력 레이저로 양성자를 빛의 속도 가까이 가속시켜 암 치료용 양성자를 생산하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무루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그 대안 중 하나다. 인공고기는 보통 가축을 사육하지 않고, 실험실에서 세포공학기술을
이용
해 살아 있는 동물세포를 배양해 얻는 식용 고기를 의미한다. 배양육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온 지는 한참 됐다. 영국 총리를 지낸 윈스턴 처칠은 1932년 ‘50년 뒤의 세계(Fifty Years Hence)’라는 책에서 “50년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토마토가 식물 전염병인 풋마름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플라보박테리아를
이용
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명공학’ 10월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oi:10.1038/nbt.4232 김 교수는 “동물의 장내 미생물의 역할과 유사한 개념”이라며 “식물의 프로바이오틱스라 할 수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임형규POSTECH 환경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
해 기후변화가 북극해의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hglim@postech.ac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알려주는 거예요. RSA 암호의 핵심은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게 어렵다는 걸
이용
한 것이므로 리만 가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설령 소수를 전부 찾을 수 있어도 소인수분해는 다른 문제”라며, “리만 가설이 풀리면 증명 과정에서 나오는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집중력을 잘 알았던 그는 책상에 오래 앉아 있는 대신에 쉬는 시간과 등하교 시간 등을
이용
해 공부했다. 길을 걸으면서 영어 지문을 외웠고, 그날 배웠던 내용들을 떠올리며 잘 알고 있으면 집에 가서 푹 자고, 그렇지 않으면 더공부했다. 구 씨는 “아주 짧은 시간이라도 알차게 쓰려고 ... ...
[이달의 사물] 컴퓨터용 사인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OMR(Optical Mark Reader)이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색깔이 검은색이기 때문입니다. OMR은 빛을
이용
해 정보를 확인합니다. 빛이 흡수되는 부분을 읽어내는 방식이어서, 빛을 잘 흡수하는 검은색 잉크를 사용해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이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생물학과 교수팀은 미국에서 유행 중인 조상 찾기 서비스
이용
자의 게놈 데이터를
이용
해 범죄 수사에 쓰이는 DNA 확인 기술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국제학술지 ‘셀’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보통 범죄 수사에서 DNA 정보는 ‘짧은 반복수변이(STR)’를 통해 구별한다. STR은 DNA 중 유전자가 ... ...
[가상인터뷰] 인간에게서 ‘잠수 적응 유전자’를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섬과 해안에 살고 있어. 바다 위에 세운 집이나 뗏목 위에서 생활 하면서 작살을
이용
해 물고기를 사냥하지. 바자우족은 바다에서 1000년이 넘도록 살아왔어. 그래서인지 우리에겐 특별한 잠수 능력이 있지. 별다른 장비 없이도 물속 70m 깊이까지 잠수할 수 있고, 오랫동안 숨을 참을 수도 있어.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