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6,318건 검색되었습니다.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그런데 자연어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조금씩 달라요. 미국인이 영어를 쓰고, 우리나라 사람이 한국어를 쓰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들도 각자 자기에게 편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컴퓨터에게 말을 거는 거지요. 시키고 싶은 일이나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서도 코드의 종류가 달라지고요 ...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10
- 필터를 통과한 신호에 중력파가 있다면 흰색 파형과 같은 중력파 파형을 뽑아낼 수 있다.우리나라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는 총 4명으로 이뤄진 중력파 연구팀이 있다. 연구팀은 ‘힐베르트-후앙 변환’이라는 수학 이론을 이용해 중력파와 잡음을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10
- 단풍이 물드는 가을이다. 아직까지 푸른 빛을 간직하고 있는 나무도 곧 누구는 붉은 빛으로, 누구는 노란 빛으로 물들 터다. 그 아름다움을 ... 관리하는 하버드 삼림에는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박창균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단풍 관측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 Part 3. 바퀴 열차의 한계를 넘어라! 자기부상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있지요. 최고시속 603km를 기록한 일본의 리니어 츄오 신칸센도 자기부상열차랍니다. 우리나라도 최고시속 550km로 달릴 수 있는 자기부상열차 ‘수마550’을 개발하기도 했어요.자기부상열차를 뜨게 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예요. 전자석의 서로 다른 극이 당기는 힘으로 뜨는 ‘흡인식’과, 같은 ... ...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과학동아 l201610
-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반복하고 있다.노벨상은 하나의 상징이다. ...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10
- 등 다양한 색의 진주가 있다”며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색은 에코그린이지만 우리나라와 일본 등 아시아권에서는 유난히 흑진주가 인기가 많아 가장 경제성이 높다”고 말했다. 흑진주 양식 기술은 교재도 없고, 관련 논문에도 자세히 서술돼 있지 않아 기술자의 존재가 무척 중요하다. 이곳 ...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열차가 이렇게 빨라질 수 있었던 걸까?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도 초고속열차를 개발했다고?더 빠른 열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이 필요해요. 그 중 가장 중요한 세 가지를 꼽는다면 엔진의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추진 성능’과 멈추는 힘인 ‘제동성능’, 그리고 공기저항을 이길 수 있는 ...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우리나라의 ‘아음속 캡슐 트레인’ ◀ 2011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만든 모형 튜브.우리나라의 한국철도기술연구원도 2009년부터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를 개발하고 있어요. 지난 2011년에는 최고시속 750km로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 모형을 세계 최초로 만들기도 했지요.올해부터는 속력 1000km ...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10
- 경주시 남남서쪽 8.7km 지역’도 진앙의 위치였습니다.48분 만에 11배 강한 지진이!우리나라에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지만 관측 사상 규모가 5.8이나 되는 지진은 처음입니다.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10
-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가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 규모가 가장 컸다. 그전까지 가장 큰 지진이었던 1980년 평안북도 의주 지진(규모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8의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