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관
외견
외모
외양
겉치레
용모
풍모
d라이브러리
"
겉보기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대상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성운(nobula)과 성단(cluster)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두가지는
겉보기
에는 비슷해도 실제에 있어서는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중에서 별이 모여서 된 것이 성단인데, 여기에는 구형으로 된 구상성단(globular cluster)과 불규칙적인 산개성단(open cluster)이 있다 구상성단들은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모든 별의 실제 밝기는 똑같으며 지구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별의
겉보기
밝기가 달라진다고 생각했다. 밝은 별은 가까이 있고 어두운 별은 멀리 있다고 말이다. 밝은 별과 어두운 별이 붙어 있는 이중성 카스토르는 그만큼 두 별 사이의 거리차가 크다는 뜻이므로 손쉽게 시차를 비교할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00인치 망원경으로 최초로 측정한 베텔기우스의 각지름은 0.044"였다. (보통 별의
겉보기
크기는 천구를 360°로 나눈 각도인 각지름으로 나타낸다. 달의 각지름은 0.5°다) 실제로 베텔기우스의 크기는 0.034"에서 0.054"까지 변한다.그럼 태양을 보듯 베텔기우스의 동그란 맨얼굴을 망원경으로 볼 수는 ... ...
한국 천문학자, 특이천체 퀘이사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963년 미국 천문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이래 지금까지 10만개 이상 확인됐다. 이 천체는
겉보기
에 별처럼 보이기 때문에 준성(準星)이라 불린다. 퀘이사는 지구에서 상당히 먼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게 특징이다. 초창기 퀘이사의 에너지원은 수수께끼였다. 많은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궤도 경사 140˚, 근일점거리 094AU(천문단위)로 계산된 다시 돌아오지 않는 혜성이다꼬리의
겉보기
길이는 수도에 달했으며 꼬리 모양의 변화가 컸던 것으로 유명하다 결정의 하나 실제로 결정은 이상적인 결정과는 달리 약간 불완전성이 있는데, X선의 반사세기 측정 등에 의해 결정 내부의 넓은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수놓는 별들 중 주황색 별 하나가 반짝인다. 황소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알데바란이다.
겉보기
등급 0.9 등급의 알데바란은 하늘의 별 중에서 13번째,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별 중에서 9번째로 밝은 별이다.별들의 지도자 알데바란알데바란은 아라비아어로 ‘뒤따라오는 자’라는 뜻이다. ... ...
빨간 피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날씨가 궂은 날이면 할아버지는 내게 어깨를 주물러 달라 하신다. 아빠는 억지로 날 붙잡고 뜨거운 욕탕에 몸을 담그려 하시고 엄마는 몸이 찌뿌드드하다며 찜질방에 가신다. 그리고는 한결같이 하시는 말씀.“어~, 시원해!”난 아프고 뜨겁기만 한 게 뭐가 좋다고 그러실까? 궁금해서 여쭤 보면 혈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다리를 쓱쓱 비비면서 준호가 말했다. 준호는 어렸을 때 사고를 당해 왼쪽 다리가 없다.
겉보기
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준호는 인공다리를 싫어했다. 경기에 이겨서 기분이 좋았는지 다리 이야기를 꺼내도 화를 내지 않았다.“다음주에 있는 결승전에서도 잘해 보자.”“응.”태양빛이 강했다. ... ...
분자는 움직이는거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얼음, 접시 두 개 실험은 이렇게①드라이아이스와 얼음을 접시에 한 조각씩 올려놓고
겉보기
성질을 비교해 보자.드라이아이스 : 이산화탄소를 높은 압력에서 압축하여 만든 고체로 눈을 뭉쳐 놓은 것처럼 하얗다.얼음 : 물을 0℃ 이하의 온도에서 얼렸을 때 만들어지는 고체로 색깔이 투명하다 ... ...
아름답게 다시 태어난 전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오랫동안 병치레를 한 환자에게 가장 좋은 음식이 뭘까요? 뭐니뭐니해도 전복죽입니다.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전복은 허약한 체력을 강하게 만들고 환자의 회복에 좋다고 하여 해산물 중에서도 귀한 음식이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영양가 만점의 전복을 먹고 그냥 버리지 않았습니다. 껍데기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