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성"(으)로 총 3,7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위에 드러난 높이를 관측할 수 있는 항공 레이저 스캐너, 해빙의 표면 온도 분포와 균열 형성을 관찰하는 적외선 카메라가 실려 있어서, 낮에는 전자기유도 및 초분광 카메라로 해빙의 전체 두께도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헬리콥터는 쇄빙선을 둘러싼 해빙과 눈의 지역적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모든 규칙을 일일이 심어주지 않고, AI가 데이터로부터 스스로 의사결정을 위한 규칙을 형성하는 것을 기계학습(머신러닝)이라고 한다.기계학습 안에는 또 여러 기법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딥러닝이다. 다른 기계학습이 한두 단계(층, layer)에 걸쳐 데이터를 학습하는 것과 달리, 딥러닝은 3개 이상의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행성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조석 현상으로 해수의 순환, 간석지(갯벌) 형성 등 생물 다양성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도 하죠.하지만 위성이 지나치게 크거나 가까우면 위성의 중력으로 인해 행성의 조석고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행성의 지역별 일조량(에너지량)에 지대한 ...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태양계 초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요. 그래서 소행성을 연구하면 태양계가 형성될 당시의 초기 모습을 이해할 수 있어요. 그런데 지구와 소행성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지상관측이나 우주 망원경만으로 소행성을 연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요. 탐사선을 통해 직접 소행성을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말했다.김 교수는 현재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에서 이 문제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작년부터는 싱가포르국립대, 영국 과학시민단체 ‘센스어바웃사이언스(Sense about Science)와 함께 전문가와 시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AI 활용 가이드(AI Guide for Society)’를 만들고 있다. ... ...
- [과학뉴스] 광합성 안하는 세균도 일주기 리듬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ytvA 유전자와 포자 형성과 관련된 kinC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했다. 청색광 흡수와 포자 형성은 일주기 리듬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졌다. 고초균을 12시간 동안 빛이 있는 밝은 환경, 12시간 동안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 두길 반복했을 때 두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빛이 있을 때 감소하고 없을 때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많으신 교수님과도 편하게 테니스를 치는 등, 선후배 교수 간의 수평적인 분위기가 형성돼 소통이 원활하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KAIST에는 연구에 열정을 가진 학생이 많다”며 “천천히 가더라도 학생들과 함께 갈 수 있도록 학생 주도의 연구를 돕는 선배 같은 교수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 ...
- [하야부사 2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하야부사 2호는 세계 최초 소행성 내부 탐사, 소행성 다중 착륙, 소행성 인공 크레이터 형성 등과 같은 여러 기록들을 세웠어요. 현재 하야부사 2호는 채취한 샘플만 귀환 캡슐에 태워 지구로 쏘아 보낸 뒤, 다음 여정을 준비 중이랍니다. *스윙바이 :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우주선의 진로나 궤도를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억제성 시냅스 골격단백질의 한 종류인 게피린(gephyrin)과 결합하며 억제성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IQSEC3 유전자의 존재는 2004년 처음 밝혀졌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뇌 시냅스 어디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제대로 연구된 적이 없었다. doi: 10.1074/jbc.M115.71289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현재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돼 특별히 기술 출처를 인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합의가 형성돼 있다면 인용을 생략할 수 있다. 그 내용이 자신이 창조한 새로운 방법인 것처럼만 작성하지 않으면 된다. 하지만 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실험 기법조차 논문에 사용하려면 어떤 논문에 나온 방법을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