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iology
뉴스
"
바이올로지
"(으)로 총 44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조류는 수컷 생식기 있어도 암컷?
동아사이언스
l
2025.08.14
부검하고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연구결과를 얻고 영국 왕립학회가 발행하는 '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에 1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호주에서 서식하는 호주까치, 웃는물총새, 볏비둘기, 무지개앵무새, 비늘가슴앵무새 등 5종의 조류 약 500마리를 부검하고 유전자를 ... ...
둥지 짓는 개미의 완벽한 팀워크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8.13
때 각 개체의 역량이 더욱 강화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12일 발표했다. 베짜기 개미는 애벌레의 실로 나뭇잎들을 서로 연결한 뒤 둥지를 만들어 모여 사는 곤충이다. 몸길이가 10mm 정도인 작은 베짜기 개미가 축구공 크기의 둥지를 만들려면 ... ...
2배 큰 수컷 제압하며 권력 구도 흔드는 암컷 고릴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다른 수컷과의 충돌에서 승리하는 비율이 28%에 달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Current Biology)'에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암컷과 수컷의 체격 차이가 힘의 절대적인 기준이 아님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25년 이상 우간다 부윈디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 ...
암 치료 열쇠 쥔 DNA 손상 복구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관여한다는 사실이 세계 최초로 입증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기영훈 뉴
바이올로지
학과 교수 연구팀이 DNA 손상 복구 경로를 규명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5월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DNA 손상은 방사선이나 화학물질 등에 의해 쉽게 발생한다. 특히 ... ...
"깨부수거나 찢거나"…거대 육식공룡의 두개골 진화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18종의 두개골과 치악력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공개했다. 백악기 후기에 살던 티라노사우루스는 최대 키 4.5m, 몸길이 13m에 이르는 거대 육식공룡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한 체격의 거대 육식공룡들은 서로 다른 시기와 ... ...
[동물do감] 가짜다리 건들자 화들짝…문어도 느끼는 '고무팔 착각'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착각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공개했다. 포유류 외의 동물에서 고무팔 착각 현상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어떤 사람의 한쪽 팔을 덮어 놓고 그 옆에 고무팔을 놓은 다음 고무팔과 다른 쪽 팔을 동시에 쓰다듬거나 망치로 ... ...
여름에도 생체시계 주기 안 변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시간 주기를 유지하는 이유를 밝혀내고 2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 컴퓨테이셔널
바이올로지
(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발표했다. 생체시계는 특정 유전자가 주기적으로 켜졌다, 꺼졌다 반복하며 작동한다. 화학 반응을 통해 생체시계가 작동하는 것이다. 화학 반응은 온도가 높아지면 진행 ... ...
잠에서 깨는 뇌, 앞쪽부터 차례대로 활성화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8
때 일어나는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1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20명을 대상으로 잠에서 깨어나는 각성 과정을 총 1073회 관찰했다. 두피에 256개의 고밀도 뇌전도(EEG) 검사 센서를 부착하고 각 참가자들의 뇌 피질의 활동을 ... ...
[동물do감] 바다 뜨거워지자 짝짓기 꺼리는 암컷 상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7
활동과 해수 온도 사이의 연관성을 살피고 연구결과를 16일 국제학술지 ‘글로벌 체인지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8~2023년 음향 추적기를 이용해 카나리아제도에 사는 전자리상어의 움직임과 분포를 모니터링하고 주변 환경 조건과 연관 지어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2022년 ... ...
[동물do감] 바다거미, '배' 없는 이유는 유전자 증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갈라졌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시한 연구결과를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비엠씨
바이올로지
(BMC Biology)'에 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매듭 바다거미는 북대서양의 바위 해저에 널리 분포하는 작은 생강 뿌리처럼 생긴 바다거미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바다거미가 복부가 없는 이유는 복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