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이올로지"(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건 가죽' 스스로 염색하는 박테리아…독한 화학공정 없앤다동아사이언스 l2024.04.05
- 색을 변화시키는 식물성 가죽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유전자를 교정한 박테리아는 식물성 가죽의 재료인 셀룰로오스 섬유를 검게 염색했다. 섬유에서 성장한 박테리아가 검은색 색소인 유멜라닌을 생산하도록 유전자를 바꾼 ... ...
- 우리집 강아지, 눈치 아닌 '단어'로 의미 이해한다동아사이언스 l2024.03.25
- 단어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결론을 담은 연구 결과를 22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에 참가한 개 18마리의 머리에 뇌파 측정기를 붙였다. 이후 각각의 개 주인에게 '이거 봐, 공이야'와 같이 개가 알고 있는 장난감에 대한 단어를 먼저 말한 다음 ... ...
- '저탄고지' 케토 식단, 알츠하이머 치매 초기 기억력 감퇴 지연동아사이언스 l2024.03.20
- 실험에서 이같은 사실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1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케토 식단은 저탄수화물, 고지방, 단백질 적당량으로 구성된 일명 '저탄고지' 식단이다. 이 식단을 실시하면 몸의 주에너지원이 포도당에서 지방으로 바뀐다. 이 과정에서 지방을 ... ...
- 암 유발 대사물질, 컴퓨터로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24.03.18
- 체내에서 암 세포가 분열되는 모습. wildpixel/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려면 암을 유발하는 대사 반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암종별 돌연변이가 어떻 ... 유발 대사물질 연구에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게놈 바이올로지’에 게재됐다 ... ...
- [과기원NOW] 이희재 DGIST 동문, 포브스 코리아 30세 미만 30인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4.03.05
- 낮춘 저요오드 해조류라는 개념과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후 금준호 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공동대표 등 DGIST 출신 학생들과 함께 2019년 스타트업 '씨위드'를 창업했다. 씨위드는 배양육의 세포를 고정하는 스캐폴드 및 세포 증식에 필요한 영양 공급용 배양액을 해조류로 개발해 배양육을 ... ...
- 사냥시 서로 안 찔리려고 줄무늬 반짝이는 청새치동아사이언스 l2024.02.28
- 진하게 만들어 서로를 공격하는 불상사를 막는다는 연구결과를 26일 국제학술지 '커런트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에 등장해 잘 알려진 청새치는 열대 바다에서 정어리, 멸치, 고등어 떼를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포식자다. 청새치는 먹잇감에 최대한 ... ...
- 복잡한 미생물 대사과정, AI 기술로 풀었다동아사이언스 l2024.02.14
- 윤성호 건국대 시스템생명공학과 교수(왼쪽)와 우현재 석사과정생. 한국연구재단 제공. 미생물 성장의 핵심 대사반응을 규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 이용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시스템즈 바이올로지’에 지난달 30일 게재됐다 ... ...
- '생애 단 3주' 잠까지 줄이며 교미하는 작은 포유류동아사이언스 l2024.01.26
- 학명 Antechinus swainsonii) 15마리를 관찰해 이 같은 결과를 얻고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수면은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 동물군에게 필수적인 생존 행위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상황에 맞춰 수면을 줄이는 동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앞서 2012년 레스쿠 교수 연구팀은 ... ...
- 2500년 전 고대인도 조기폐경 일으키는 증후군 앓았다 동아사이언스 l2024.01.15
- 증후군과 터너증후군 질환을 발견해 1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성염색체는 생물의 성별을 결정하는 염색체다. 세포핵에 들어있는 23쌍의 염색체 중 22쌍의 상염색체를 제외한 나머지 한 쌍이다. 여성은 X염색체 2개를, 남성은 X염색체 1개와 Y염색체 ... ...
- 물 표면 뛰어다니는 소금쟁이, 차세대 수중로봇 개발 '실마리'동아사이언스 l2024.01.15
- s)를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8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공개했다. 올림픽에 출전하는 수영 국가대표가 일반적으로 1초당 몸길이의 3.5배 정도만큼 나아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물 속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