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iology
뉴스
"
바이올로지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인과의 이별 슬픔 잊는 '뇌 메커니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연인과 이별을 경험한 뒤 뇌에서 어떤 작용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프레리 들쥐를 사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프레리 들쥐는 사람처럼 평생 한 명의 짝만을 만나는 동물로 ... ...
[인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02
박경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처장(산학협력단장 겸임) 구재형 뉴
바이올로지
학과 교수 △학생처장 김소희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학술정보본부장 이성훈 미래자동차연구부 ... ...
새해 덜 늙고 더 건강하려면?...‘2023 노화 연구 돌아보기’
동아사이언스
l
2023.12.28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
바이올로지
학과 연구팀은 전기자극을 통해 노인의 근감소증을 완화하는 치료 방법을 찾았고,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는 동물실험을 통해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단백질 투여 전략을 발견했다. 인공지능(AI)을 ... ...
되새김질 하는 동안 '수면 보충'하는 순록
동아사이언스
l
2023.12.24
뇌파는 비 렘(REM)수면 상태의 뇌파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를 23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먹이를 먹는 동시에 충분한 수면 효과를 누리면서 많은 신체에너지가 소모되는 시기에 대비한다는 설명이다.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멜라니 퓨러 취리히대 연구원은 "순록은 더 ... ...
여성 눈물 냄새 맡으면 남성 공격성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2
공격성을 차단하는 화학물질이 포함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21일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에 공개했다. 설치류 실험을 통해 암컷의 눈물 냄새가 수컷의 공격성을 차단한다는 점은 이미 확인된 사실이다. 동물에게는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연구팀은 인간에게도 이같은 현상이 ... ...
미생물로 플라스틱 만들고 분해까지...“미생물 대사공학 활약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1
플라스틱 생산 및 분해 기술 개요, 동향을 소개한 논문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마이크로
바이올로지
’ 온라인판에 지난달 30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플라스틱은 연간 약 4억6000만 톤이 생산된다. 2060년에는 연간 생산량이 12억30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1950년부터 63억 톤 이상의 ... ...
"모기 진화 초기엔 수컷도 피 빨았다…백악기 화석 발견"
연합뉴스
l
2023.12.05
지질학·고생물학 연구소 및 레바논대학 대니 아자르 박사팀은 5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Current Biology)에서 레바논의 백악기 하부 지층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수컷 모기 화석을 분석한 결과 입천장이 뚫린 구조로 돼 있어 피를 빨았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 ...
정수장 '불청객' 깔따구, eDNA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23.12.02
지난해 2월 영국 퀸 메리대 연구팀과 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eDNA를 채취해 광범위한 생물다양성을 측정했다는 연구 결과를 각각 발표했다. 사진은 코펜하겐대 연구팀이 분석에 사용할 공기 시료를 수집하는 모습이다. Christian Bendix 제공 ● 실종자 수색부터 ... ...
문둥이박쥐, 침습 없이 몸 맞대는 독특한 방식으로 교미
동아사이언스
l
2023.11.21
박쥐의 비침습적인 성행위를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를 21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네덜란드에서 관찰된 '문둥이박쥐'는 생식기관을 문지르는 방식으로 짝짓기를 하는 것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문둥이박쥐의 생식기관이 몸통에 비해 크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일반적인 ... ...
지구상 가장 높은 곳에 사는 포유류는
동아사이언스
l
2023.10.27
견딜 수 있는 '최고 고도' 기록을 경신했다고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23일(현지시간) 밝혔다. 지금까지는 에베레스트산 해발고도 6200미터 지대에서 발견된 토끼목 '우는토끼(pika)'가 최고 고지대에서 생존한 포유류로 알려져 있었다. 첫 번째 쥐 미라가 발견된 곳은 칠레와 아르헨티마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