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물"(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하는 한편, 열전소자, 태양전지도 연구하고 있다. 또 김대형 연구위원(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최승홍 연구위원(서울대 의대 영상의학과 교수)이 참여하는 그룹에서는 유연 전자소자를 제작해 의료 분야에 응용하고 있는데, 현 단장 그룹에서 합성한 나노물질로 김 연구위원이 유연 전자소자를 ...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IBS l2016.06.02
-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박 부연구단장이 직접 디자인한 휴게실에서는, 생물학, 물리학, 화학 등을 전공한 연구원들이 자신의 연구문제를 내놓고 다방면의 조언을 들으며 열띤 토론을 하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최근 박 부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진은 주변의 열에너지를 뽑아내 1 ...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IBS l2016.04.04
- 연구자다. 분자가 변할 때 시냅스, 신경회로, 행동이 차례로 변화하기 때문에, 분자생물학적 수준의 연구와 상호 보완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 부연구단장은 우리 뇌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 과정이나 기억과 같은 고위 뇌기능이 뇌 질환과 밀접한 ...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등이다. IBS 나노입자 연구단(단장 현택환 서울대 교수) 성영은 그룹리더(서울대 화학생물학부 교수) 연구진은 연료전지의 백금 사용량을 줄이면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합금 촉매에 주목했다. 백금과 전이금속을 원자 단위로 배열해 반응성을 높이는 동시에, 연료전지 구동 시 쉽게 녹아 입자끼리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단어를 처음 정의한 곳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이다. NIH는 ‘바이오 마커란 정상적인 생물학적 과정, 질병 진행 상황, 치료방법에 대한 약물의 반응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라고 정의했다. 여기에 일반적으로 관찰이 어려운 특정 바이오 마커에 색을 입히거나 빛을 내는 ...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널리 알린 연구 성과들 연구성과 중 첫째는 '스마트 인공피부 개발'이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연구진은 사람 피부처럼 늘어나고 온도와 습도까지 느끼는 스마트 인공피부를 선보였다. 온도, 압력, 변형의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초박막 폴리이미드(PI) 박막과 실리콘 단결정 나노리본(SiNR)으로 ... ...
- KIOST 부산 이전은 새로운 재도약의 호기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하는 방오 도료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2001년 방오 도료로 사용된 삼부틸주석(TBT)이 생물의 생식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게 발견되어 이에 대한 사용 금지를 국제적으로 합의하였습니다. 그러면 대체 방오 도료를 개발해야 합니다. 해양 환경에 해로운 현상이 발견되면 즉시 대안을 마련하도록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IBS l2015.12.29
- 수천 개에서 수십만 개의 화학물질을 동시에 테스트해 원하는 화학물질을 찾는 구조다. 생물 내 에너지 대사 물질인 ATP 활성도를 측정해 간접적으로 세포에 끼치는 영향력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안젤리나 졸리 같은 처지의 사람들에게 희소식 할리우드의 유명 여배우 안젤리나 졸리는 BRCA1 ...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IBS l2015.12.28
- 분야에서 활용가능하기 때문이다. 표면 과학(surface science), 유기 화학(organic chemistry), 분자 생물학(molecular biology), 반도체 물리학(semiconductor physics) 등 최신 융합 학문에서도 나노기술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에 따르면 2016년 세계 나노융합기술 시장의 규모만 해도 1조 6,465달러에 ... ...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2015.12.17
- 재정행정위원회의 한국대표로 참여하였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세종 박사가 생물해양학위원회 부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북태평양생태계상태보고서 3판 및 2017년 ECSC 개최를 위한 운영위원회 구성 등 다양한 현안사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특히,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 예정인 2016년 PICES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