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스페셜
"
생물
"(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생리의학상 수상자 프루시너(Stanley B. Prusiner, 1942- )였다. 그는 “감염에 대한 새로운
생물
학적 원리인 프리온을 발견”한 업적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처음 가 본 영국에서 프리온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돌아왔는데 그로 인해 한동안 헌혈을 못하게 된 것은 예상못한 경험이었으며, 의학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잊어버렸다.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구조
생물
학으로 분야를 바꾼 영국 MRC분자
생물
학연구소의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은 2000년 리보솜 작은 단위체의 구조를 규명하며 동시에 항생제 6가지가 결합한 구조도 밝혔다. 이런 업적이 인정돼 후발주자임에도 여러 리보솜 연구자들 가운데 200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않으므로 결국 세포가 성장(분열)하지 못하게 된다. 세균은 핵이 없는 원핵세포 단세포
생물
이고 암세포는 진핵세포라는 점이 차이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는 핵의 유무 외에도 아직까지 학자들이 발견하지 못한 차이도 있으므로 일부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기는 하지만 사람과 같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이종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다. 주로 식물과 이를 먹이로 삼는 미
생물
이나 동물 사이의 속고 속이는 화학전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국내 화학생태학자로는 김상규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가 떠오른다. 이동을 할 수 없는 식물은 자기방어를 위해 각종 독성물질 대다수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3.12.23
피부세포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제작한 다음 유전자 조작을 통해 난자를 만들어
생물
학적으로 두 마리의 아빠 쥐 사이에서 새끼를 얻는 데 성공했다. 일리야 수츠케버 미국 오픈AI 수석 연구원도 선정됐다. 수츠케버 연구원은 챗GPT와 이를 뒷받침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개발에 핵심적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세균이 자라지 않은 부분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알아내고자 한 것이 곰팡이가 지닌 항
생물
질의 발견으로 이어진 것이 우연이자 행운에 의한 발견이었다. 이 발견에 흥미를 느낀 플레밍은 곰팡이의 어떤 능력이 그 주변에 세균을 자라지 못하게 했는지를 알아내려 했고, 이 과정에서 Penicillium notatum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대한 최근 연구 결과다. 중력 방향으로 뿌리가 자라는 굴중성과 함께 굴광성은 중고교
생물
시간에도 배우는 식물의 기본 특성이다. 빛을 더 받아야 광합성을 더 해 성장 경쟁에서 이길 수 있고 땅 밑으로 뿌리를 잘 내려야 물과 영양분 흡수 경쟁에서 유리하다. 흥미롭게도 식물의 굴광성은 1881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덫에 갇힌 동료 구하는 돼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0
인지능력을 보여주는 내용의 르포 기사를 소개했다. 독일 두머스토프에 위치한 '가축
생물
연구소(FBN)'는 염소, 돼지 등 가축의 '마음'을 조사하는 연구센터다. 이곳 연구자들은 수천년 간 인간과 함께 살아 온 가축의 정신적인 부분과 감정적인 삶의 모습을 탐구한다. 사이언스는 최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결국 커피 한 방울의 분자 조성은 오랜 세월 선택을 통해 진화한 결과이고 여기에는
생물
이 개입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 빅뱅 이후 우주에서 가능한 대상(objects)의 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늘겠지만, 선택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복잡도가 커질수록 복제수(copy number)는 적어질 것이다(왼쪽). 반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쿵쿵 ' 심장박동 일으키는 근단백질 구조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11.25
속 미오신 필라멘트의 한 조각을 실었다. 로저 크레이그 미국 메사추세츠 챈 의대 세포
생물
학부 교수 연구팀과 슈테판 라운저 독일 막스플랑크분자생리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지난 11월 1일 각각 심장 근육을 이루는 미오신필라멘트의 분자 구조를 규명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주먹만한 크기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