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타인"(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키고 싶은 자아상 무너질까 두렵다면?2024.12.21
-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을 던져보는 것이다. 행복한 사람, 나와 타인에게 너그러운 사람, 인간적으로 그럭저럭 괜찮은 사람,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사람, 또는 '군자'가 되는 것처럼 조금 더 모두에게 이로운 자아상을 그려보는 것은 어떨까. Haselhuhn, M.P. & Ormiston, M.E. (2024).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엄군에 맞서는 힘은 어디서 나올까2024.12.07
- 하여금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다. 나를 부끄러워하는 타인과는 절교하면 그만이지만 나를 부끄러워하는 나와는 헤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지옥을 피하기 위해 마치 자아의 스위치를 꺼버리듯 의식을 파괴하는 것이 극단적 선택이라는 설명이다. 물론 ‘후회’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의 행복'에 주변 사람들 안위도 포함된다2024.11.02
- 가장 거대한 물결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힘들다는 인식에서 나아가 나 뿐만 아니라 타인들도 다양한 이유로 힘들다는 깨달음, 측은지심이 인간이 지금까지 무리를 이루어 생존해 온 비결일 것이다. 어차피 인간인 이기적인 존재일 뿐이라고 보는 냉소적인 시선이 다소 비논리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2024.10.05
- 편이라는 강한 신념을 보였다고 한다. 한 가지 확실한 게 있다면 우리가 나 자신이나 타인에 대해 내리는 도덕판단은 자주 우리의 '감정'과 '동기'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꽤나 허술한 편이라는 것이겠다. 누군가를 조각조각 비판하기 전에 나의 행동 또한 세세히 따져본다면 조금이나마 오류를 줄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절'이 기분좋은 이유2024.09.14
- 사회를 좀 더 따뜻하게 만드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나를 포함한) 세상 사람들이 조금씩 타인에게 친절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내가 작은 친절을 베풀었다면 이 세상은 적어도 그만큼 더 따뜻해진다. 내가 베푸는 친절이 나에게도 기분이 좋은 이유는 일면 내가 속한 세상과 내가 한 걸음 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적갈등 겪으면 남을 이해하게 된다2024.09.07
- 보면 같은 인간으로서의 공통점이 더 많은 것도 같다. 나의 내면과 삶이 복잡한 것 만큼 타인의 내면과 삶 또한 복잡하며 그런 점에서 사람들은 서로 많이 닮았다는 사실을 기억해보자. Sassenberg, K., & Winter, K. (2024). Intraindividual conflicts reduce the polarization of attitude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소속 욕구가 강할수록 상처받는다2024.08.24
- 잘 변하지 않는다는 믿음(관계에 대한 성장적 관점과 운명론적 관점), 자기 자신이나 타인을 향한 비판적 완벽주의, 또 여러 상황적 요소(많은 스트레스와 걱정거리로 인해 정신적 소모가 심한 상태, 소외감) 등이 한몫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지금까지의 글에서 함께 살펴본 것들이기도 하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이해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나의 일부'가 된다2024.08.17
- 어찌되었든 친구이든 연인이든 누군가가 나의 세상을 정의할 수 있고 반대로 내가 타인의 세상을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은 멋진 일이다. Auger, E., Thai, S., Birnie-Porter, C., & Lydon, J. E. (in press). On creating deeper relationship bonds: Felt understanding enhances relationship identific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필요한 관심사 '가지치기'2024.08.03
- 있는 것인지, 아니면 크게 상관 없는 것인지 (유명인의 사생활, 조직 내에서의 가십거리, 타인에 대한 험담 등), 정말 중요하고 사실이어서 관심을 갖는 것인지 아니면 내가 사실이라고 믿고 싶은 것인지 (잘못된 건강 정보, 일확천금에 관한 정보들), 역시 중요해서 따라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라고 믿었던 모든 것, '착각'일 수도2024.07.13
- 것은 아니다. 다들 외향적이면서 혼자 있고 싶은 시간도 있고 반대로 혼자 있고 싶으면서 타인과 부대끼고 싶은 순간이 오는 법이다. 따라서 어떤 특징이든 대충 그 반대 되는 것과 섞으면 모든 사람들에게 "그거 완전 나야"라는 반응을 듣게 된다. 이런 점에서 사람들에게 어떤 일반적인 특성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