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타인"(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 과몰입' 불행의 원인2025.10.04
- 해석하는 자기중심성(egocentrism),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의 안녕을 중시하는 이기심(egoism),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신경 쓰며 남들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타율성(heteronomy) 등이 흔히 나타난다. 이에 반해 마크 리어리 듀크대 심리학자 등의 연구자들은 저(低) 자기 몰입(hypo-egoic) 상태가 우리 삶 속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속 시끄러운' 자아 비워야 진정한 나를 찾는다2025.09.27
-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인간으로서 갖는 본질적인 부족함들을 받아들이고 자기 자신과 타인에게 너그러운 마음을 품어보는 자기자비(self-compassion), 자신의 지식과 자아를 분리해서 자신이 틀릴 가능성이 있음을 받아들이고 그래도 괜찮다고 할 줄 아는 지적 겸손(intellectual humility), 힘들 때 ‘나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틀렸을 가능성을 생각하는 '지혜로운 사람'2025.09.13
- 모두에게 동일하게 좋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데, 내게 옳은 것이 다른 상황에 처한 타인에게도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매우 대담한 추측임을 알아야 한다. 보다 넓고 유연한 사고방식을 가지면 서로 자기 말만 옳다고 고집하며 싸우는 일도 줄어들 수 있다. 지혜를 내적 평화와 연결 지은 학자들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믿어주는 사람의 존재'가 삶을 바꾼다 2025.09.06
- 것이다. 나 역시 돌아보면 그런 도움을 수도 없이 많이 받아왔다. 그렇기에 더욱더 타인을 성급하게 판단하지 말고 마치 혼자의 힘으로 모든 것을 이룬 척하지 말 것, 도움을 받기만 하지 말고 다시 돌려줄 것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 나는 나이도 꽤나 먹었고 슬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약자 혐오가 횡행하는 이유2025.08.16
- 불의를 직면하면 화, 분노, 슬픔, 무력감 등 다양한 부정적 감정에 노출되기 때문에 타인의 고통을 외면하는 것 또한 부정적인 감정을 피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다. 관련해서 이렇게 부정적인 정서를 피하려는 마음이 강할수록 약자혐오가 심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들이 있다. 예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똑똑한 것 같지만 지혜롭지는 않은 사람들2025.08.02
- 타인을 쉽게 판단하며 자신의 기준만이 옳다고 여기는 사람들보다는 말을 조심하고 타인을 성급하게 판단하지 않으며 자신을 높이는데 급급하지 않은 사람들이 대체로 위와 같은 특성을 보이는 것 같다. 이런 점에서 사람들을 쉽게 몇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시도들이 얼마나 부질없는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의 독립은 '행복'으로 가는 유일한 길2025.07.26
- 함께 잘 지내보는 법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타인들의 칭찬이나 부러움을 통해 자신의 멋짐을 확인하는 것에 집착하고 또 다른 사람들은 자극적인 즐거움이나 물질 등을 통해 텅 빈 마음을 채우려 한다. 하지만 결국 마음이 밑 빠진 독이면 무엇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에서 하찮은 존재"…너그러운 사회 만든다2025.06.21
- 과정을 거치면 불안이 줄어들고 특히 자기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의향과 타인의 잘못 또한 용서할 의향이 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예전에 한 다큐에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사형수들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시각과 태도를 보이지만 사형 집행일이 되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을 주거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인간관계를 망치는 '정치적 파벌주의' 2025.06.14
- 같다는 응답이 나왔지만 실제로는 2%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핸드폰만 열면 타인과 연결되는 시대에 점점 더 서로를 잘 알지 못하게 되었다는 아이러니한 결과다. 핀켈 등은 여기에 대해 ‘공정성’이나 팩트 체크보다 입맛에 맞는 미디어만 소비하는 현상과 여기에 편승해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롭다고 느낄수록 수명 짧아진다2025.05.31
- 많이 만나도 사회적 허기인 외로움이 충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인간은 어차피 타인과 100% 마음을 통할 수 없다거나 노화와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혼자가 된다는 존재론적인 이유로 고질적인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다. 이 경우 그냥 그게 사는 것이라고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