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CSI: 과학수사대’와 ‘알몸 절도 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루벤 가톨릭대 연구팀은 미국, 브라질, 카보베르데에 사는 18세에서 40세 사이의 참가자 592
명
의 DNA로부터 3D 얼굴 모형을 재현하는 데 성공해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얼굴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부위들, 예컨대 눈썹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 마커 등을 상세히 밝혔습니다. ...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도시이기도 합니다. 요즘 같은 여름철에는 로키산에서 즐기는 하이킹과 래프팅이 유
명
하고, 겨울철에는 로키산맥을 따라 개장하는 수많은 스키장이 있죠. 대부분 덴버 국제공항에서 차로 1~2시간 거리에 있어서 접근성이 좋습니다. 또 도시 전체에 자전거 도로가 잘 돼 있어서 자전거를 타고 곳곳을 ... ...
[지식] 인생은 게임이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여러분의 고민을 풀어봤습니다. 좋은 해결책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하지만 분
명
한 건 지금도 여러 수학이론이 사회, 경제, 정치 등 여러 분야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사실이에요. 만약 어떻게해야 할지 몰라 막막하다면 해결 방안으로 수학을 떠올려 보세요. 의외로 쉽게 해결될지도 ... ...
[Photo] 천의 얼굴에 숨은 천 가지 기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의료용 조영제에도 중정석이 쓰인다. 위장 엑스선 검사를 할 때 마시는 조영제는 뼈처럼
명
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부드러운 조직인 위장의 형태를 뚜렷하게 볼 수 있게 해 준다. 이는 조영제에 들어간 중정석이 뼈보다 엑스선을 더 잘 흡수하는 특징 덕분이다. 중정석을 구성하는 원소인 바륨(Ba)은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복이 온다고 오래 전부터 믿어왔다.죽어서 가죽 백을 남긴다올해 1월 중국에서는 16
명
이 뱀 가죽을 밀수하다가 적발됐다. 이들이 몰래 들여온 뱀 가죽은 약 7만 점. 우리나라 돈 약 550억 원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였다. 게다가 이들이 가져온 가죽은 IUCN이 ‘취약종’으로 등록한 버마비단구렁이(위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➎ 마이크로 피펫 가격 : 45만 원0.1~1μL 단위로 정확히 용액을 더는 피펫이다. 독일제
명
품(?)은 개당 30만 원 이상이지만, 국산 제품은 15만 원 선에서 구할 수 있다. 단위 별로 세 개가 필요하다.➏ PCR 기기 가격 : 50만 원크기와 제조사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물을 끓여가며 1시간30분 동안 직접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해도 차별은 없다. 공동과제를 하고 있는 다른 두
명
과 달리, 오히려 지환 씨는 독립적으로 과제를 하고 있다. 그가 이번 여름 동안 연구를 할 분야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스마트홈이다. 지환 씨는 “프로그래밍이 익숙지 않아 고생을 많이 하고 있다”며 “인턴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중”이라고 말했다.연구팀은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팀과 함께 치매로 사망한 70
명
의 뇌 조직 유전체를 이 기술을 적용해 분석하고 있다. 뇌 발달 단계에서 생긴 유전자 변이가 단백질에 문제를 일으키고 치매를 일으켰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다. 이 교수는 “앞으로 환자 유전체 데이터의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많은 신학자와 철학자들이 칸토어를 공격했습니다.푸앵카레의 추측으로 유
명
한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칸토어가 사용한 집합론의 허점을 공격했는데요. 당시는 집합론이 막 정립되던 시기였기 때문에 군데군데 허점이 많았습니다. 허술한 공리 때문에 다양한 역설이 제기됐죠. 이런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대해 논란이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뇌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기 때문에 분
명
한 결론을 내기 어렵죠. 하지만 뉴로피드백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13년 뇌 전두엽의 좌우뇌 비대칭 지수와 경쟁 중 느끼는 불안 사이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가 있었죠.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