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 물질은 부티릴콜린분해효소다. 간에 많기 때문에 몸속에 넣어도 부작용이 없다.
우리나라
는 피부에 붙이는 패치형 해독제를 개발 중이다. 패치형은 몸안에서 아세틸콜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적당하게 약물을 넣는다. 따라서 해독제를 먹은 뒤 아세틸콜린의 양이 갑자기 늘고 줄면서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KB로만 잡아도(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크다) 323GB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18대 국회의원 등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홈페이지 가운데 가장 데이터가 많은 후보는 얼마나 많은 자료를 담고 있을까. 4GB(약 41억 바이트)다. 사람 1명이 지니고 있는 염기 서열 데이터량(30억 쌍 또는 60억 개, 1개를 1바이트로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소음으로 근처에 살고 있는 동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거나서식지를 떠날 수도 있다.
우리나라
에는 아직 해상풍력 단지가 건설된 곳이 없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것도 문제다. 해상풍력이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로 인정받기 위해서 반드시 넘어야 하는 과제다. [제주도가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 있는 고성능 레이더가 탑재됐다.하지만
우리나라
가 직접 요격하기란 사실상 어렵다.
우리나라
의 미사일 요격 능력은 저고도 미사일에 국한됐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군의 패트리엇 미사일(PAC-2)은 요격대상이 제한적이어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을 요격할 수 없다.한편 국내 북한 전문가들은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무엇이냐는 질문에 최 교수는 망설임 없이 물리를 꼽았다. 하지만 물리를 싫어하는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물리의 매력을 알려달라는 질문에는 허허 웃으며 황당하다는 기색을 드러냈다.“학생들이 물리를 싫어해요? 어떻게 그럴 수가 있죠?”최 교수는 학창시절부터 물리를 좋아했고, 공과대학에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이미 세계 주요 연구기관들이 일체형 중소형 원전의 표준화 경험을 살피기 위해
우리나라
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하지만 SMART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린다. 모듈형이 아닌데다 크기도 큰 편이라는 비판도 많다).소형 원전이 활용될 곳은 다양하다. 최근 이 교수를 비롯해 원전 연구자들은 바다 ... ...
사람의 스토리로 공감대 만들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Interviewee)의 경험과 연륜을 독자들에게 드라마틱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으로 활약한 이소연 박사를 예로 들어 봅시다. ‘이소연 박사가 한국인 최초로 우주인이 돼 각종 임무를 무사히 마치고 돌아왔다’와 ‘죽을 고비를 몇 번 넘기며 우주인이 돼…강도 높은 ...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많은 노력을 들였지만 사람들이 보는 성공과 실패는 아주 짧은 시간에 나뉩니다. 특히
우리나라
는 결과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잖습니까(웃음). 그런 것 때문에 힘들긴 하죠.Q. 학차창시절 항공우주산업(항공우주공학자)을 꿈꾸게 된 계기가 있나요.어릴 때부터 이공계에 관심이 많았어요. 하지만 ... ...
개발도상국 환경 문제 해결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높이기 위한 교육훈련이다. 캄보디아, 베트남 연구진들과 메콩강 수질을 공동연구하면서
우리나라
의 앞선 과학기술을 전수하고 있다. 인턴십 프로그램을 열어 개발도상국의 대학생들을 GIST로 초청하기도 한다.세라믹 필터를 현지에 보급해 질병을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발도상국의 연구자들을 ... ...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때문에 건축학과는 세계 대부분의 대학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서울대 건축학과는
우리나라
에서 가장 일찍 설립된 건축교육기관이다. 건축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 걸쳐 최고 수준의 교육과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서울대 건축학과는 공과대학에 소속돼 있다. 건축학과는 건축설계 및 역사이론을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