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연구원 등 전문가 분들도 함께하셨지요.발대식은 탐사대원들의 선서로 시작됐어요. 초록지구팀 지인우(인천 해송초 5), 새싹팀 한봄(서울 대현초 5) 대원이 대표로 무대에 올라 힘찬 목소리로 선서문을 낭독했어요. 다른 탐사대원들도 한목소리로 앞으로 바른 마음가짐으로 지사탐 활동에 열심히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결과 허리는 구부정하고 배는 불룩해서 걸음걸이가 현대인과 다를 수밖에 없었어요.이후 지구의 기후가 건조해져서 숲이 없어지자,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초원으로 나와 동물을 먹는 인류로 바뀌어요. 이들이 바로 호모 하빌리스예요. 호모 하빌리스는 여전히 긴 팔과 돌출된 얼굴을 갖고 있어 ... ...
- [Knowledge] 외계인도 아는 원주율 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바퀴 회전하고, 따라서 2시 방향은 한 바퀴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방향이라는 건 순전히 지구인끼리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시침이 1시간동안 30º를 움직이니, 2시면 60º 방향이라고 알려줘도 문제는 남는다. 한 바퀴가 360º라는 것 역시 외계인은 알 수 없는, 우리끼리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지구 정복을 꿈꾸는 닥터 그랜마! 지구를 정복하기 위해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들을 관찰하다 보니 인간들은 개와 참 친하더군. 최근 연구에서는 개와 사람이 친한 이유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놓기까지 했던데….개는 대체 어떤 동물이길래 사람들이 그렇게 좋아하는 거지? 나도 어디 한 번 친해져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바르셀로나 같은 곳에서는 집 안을 통과해 부는 바람이 중요했다. 그런데 에이샴플라 지구에서도 블록 모퉁이에 지어진 집은 이 점에서 불리했다. 삼각형 땅의 3면 중 2면이 다른 집에 가로막혀 있는 ‘눈먼 벽’이기 때문에 다른 집에 비해 덥고 채광이나 환기도 잘 되지 않았다. 특히 해질녘에 낮은 ... ...
- [과학뉴스] 시내 공립고등학교에 망원경이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믿기 힘들만큼 시설이 좋다. 일반공립고인 이곳에 천문대를 짓기 위해 김영종 망포고 지구과학 교사는 2010년부터 시청, 교육청, 시·도의회, 일반 기업 등 안 간 곳이 없다. 아이들에게 별을 보게 해주겠다는 일념으로 4년간 노력한 끝에 교육청에서 예산이 내려와 작년 봄부터 공사가 시작됐다. 김 ...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수원청개구리의 분포와 생태를 연구하고 있다.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린이와 학부모 회원으로 이뤄져 있는 자발적 탐사 모임이다. 전국에 흩어져 사는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지역의 논이나 호수 등을 찾아 다니며 수원청개구리의 모습과 노랫소리를 채집하고 ... ...
- [수학뉴스] 세계 나무의 반이 사라졌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숲환경학교실의 토마스 크라우서 박사팀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자료를 모아 지구상에 나무가 무려 3조 그루 넘게 있다는 연구 결과를 9월 2일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예측모형을 만들기 위해 위성사진과 슈퍼컴퓨터, 그리고 숲에 대한 자료를 국가별로 모았습니다. 땅을 일정한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느리긴 하지만 전보다는 나아진 대화법이다. 상상력과 유머로 살아남기마크 와트니가 지구와 충분히 교신하는 데 성공할 수 있을지, 구조되기 전까지 화성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생명을 포기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와트니는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생존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바라본다면 신기한 하늘소의 다채로운 삶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발과 기후변화 등으로 지구생태계의 곤충상은 상당히 변했다. 멸종된 곤충도 많고 분포도도 달라졌다. 파브르 곤충기는 지난 100여 년 동안 수많은 곤충학자에 의해 새롭게 밝혀진 곤충이야기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나온 몇몇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