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구 나무 절반으로 줄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단위면적 당 나무 수를 계산해 전세계 삼림의 전체 나무 수를 추정했다. 조사 결과 현재 지구에 남아 있는 나무는 총 3조 그루. 10년 전 예상했던 수치(4000억 그루)보다는 7배 많지만 인류 문명이 시작된 1만2000년 전에 비하면 46%나 감소한 수치다. 연구진은 매년 벌목으로 19만km2의 숲과 100억 그루의 ... ...
- [손바닥 인터뷰] “북극 카라해가 더워지면 한국에 한파 와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연구를 할 계획이다. 국종성 교수 사실 지구가 따뜻해지면 중위도 겨울도 따뜻해야 한다. 지구온난화와 북극온난화 두 세력이 중위도 겨울을 두고 서로 싸우는 셈이다. 우리나라가 앞으로 계속 추운 겨울만 맞게 될지, 혹은 어떤 임계치가 있어서 다시 따뜻한 겨울이 될지 밝히는 게 목표다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동영상도 병목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화성을 바라보지만, 실속은 지구에 있다.원웹과 버진갤럭틱, 페이스북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이 사업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도 투자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스페이스X는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에 사업계획을 제출했고 현재 승인을 기다리는 ... ...
- 흔들흔들, 네팔 대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수는 계속 늘고 있어요.이번 지진은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부딪히면서 발생했어요. 지구의 표면은 10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판들은 매년 1~6cm씩 움직이고 있어요. 판이 움직이면 때론 판끼리 충돌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그럴 때 지진이나 화산폭발이 일어난답니다. 네팔은 바로 판이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내 친구, 가족, 함께 일한 식구들! 이젠 우리가 헤어져야 할 시간이에요.”지난 5월 1일 우리나라 시간으로 새벽 1시 20분쯤 메신저호가 자신 ... 메신저호를 대신할 수성 탐사선 ‘베피콜롬보’를 만들고 있어요. 베피콜롬보는 2017년에 지구를 출발해 2024년 수성 궤도에 들어갈 예정이랍니다 ...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지키는 일을 하는 데 목표를 갖고 열심히 할 수 있거든요.물 아끼기, 나부터 시작해요!지구에서 우리가 마시고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약 0.01% 정도예요. 지난 2003년 우리나라는 물부족 국가로 지정되었고, 2050년이 되면 세계 인구의 절반이 마실 물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해요.그래서 K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보물이 가득한 웅진백제역사유적지구는 공주, 부여, 익산 세 도시에 걸쳐 있는 8개의 유적지를 말합니다.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부여의 관북리 유적, 부소산성,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나성, 마지막으로 익산의 왕궁리 유적과 미륵사지가 여기에 속하지요. 오늘은 웅진시대의 공주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찾는 데 유리한 반면, 중력렌즈 방법은 항성에서 공전 주기가 1년 정도 되는 멀고 작은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특화돼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칠레, 호주, 남아공 세 곳에 관측시스템(KMT Net)을 설치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재배한 첫 상추, 어떤 맛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시작하면서 설치됐다.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해, 베지에서 자란 상추는 지난해 10월 지구에서 안전성 검사도 마쳤다.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으로 우주선 안에서 자급자족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현재 유투브를 통해 상추를 먹는 우주비행사의 모습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QR코드 참조) ... ...
- [Photo] 초록빛 납 광물 녹연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구에서 발견되는 5000여 종의 광물 중 3분의 2는 생명체의 영향으로 태어난 광물이라고 한다. 광물 진화의 가장 중요한 원소인 산소는 초기 대기에는 거의 없다가 생명체를 통해 급격히 증가했고, 땅속에서는 미생물과 식물 뿌리를 통해 광물의 운명이 달라졌다. 요즘 주목받고 있는 '생명체와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