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중인 연구에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작지만 큰 변화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중요해진다. ‘완벽한 단위’를 찾는 과학자들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광철KAIST에서 물리학 학사, 포스텍에서 기계공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키블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방법도 개발할 수 있었다. 이 교수팀은 올해 초 그래핀으로 구리나노선을 코팅하는 기술을 미국에서 특허출원하고 현재 심사 중이다. 연구팀은 현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기태양전지에 그래핀 구리나노선 전극을 적용한 뒤 성능을 테스트하고 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흐른 시간의 1023배 이상 걸리지요. 그래서 수학자와 컴퓨터과학자는 다양한 수학 기술을 동원해 문제를 풀고 있습니다. 첫 번째 의미 있는 결과는 1954년에 나왔습니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가 모여 연구하는 미국 랜드연구소 소속 세 명의 수학자 조지 댄치그와 레이 풀커슨, 셀마 존슨이 미국의 4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글자를 통째로 숫자로 바꾸는 반면, 스테가노그래피는 다른 대상에 감추는 ‘정보 은닉 기술’이지요. 암호는 정보의 모습을 바꾸기 때문에 암호가 노출돼도 푸는 방법을 모르면 무용지물이지만, 스테가노그래피는 정보를 숨길 뿐 형태를 바꾸지 않기 때문에 발각되면 즉시 정보가 드러납니다 ... ...
- Part 2. 미세 플라스틱 옷에서 만들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페트병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나온다?치약 안에 있는 작고 알록달록한 알갱이를 본 적 있나요? 제품 뒷면에 ‘폴리에틸렌’이 써 있다면 미세 플라스틱일 가능성이 높답니다.미세 플라스틱들은 다른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져요. 그 중에서도 처음부터 작게 만들어진 플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인공 광합성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시금치는 물에서 수소를 만드는 마술사?미세먼지를 포함해 각종 대기오염으로 지구가 병들어가는 요즘, 깨끗한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 특별한 프로필!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 ... ...
- [과학뉴스] 제주도 바닷가 신종미생물에서 항생제 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배양조건도 찾아냈다. 이를 토대로 향후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최혁재 교수는 “프로지디오신은 제약시장에서 고가로 거래 되고 있다”며 “국내에서 발견한 신종 해양미생물에서 가치가 높은 항생제 물질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doi:10.1099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분출되면 육상의 진흙 화산과 유사한 지형도 나타난다. 석유제품 원료부터 오염 정화기술까지자연현상으로 유출되는 석유는 기원전부터 아제르바이잔 등 중동 지역과 인도네시아, 미얀마, 일본 등지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돼 왔다. 단층면이나 균열대를 따라 유출되는 석유는 지표에서 타르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우리가 아직 모르는 인체의 신비를 밝히는 게 목표입니다.” 오세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자신의 첫 박사과정 제자인 이찬 연구원과 함께 ‘운동 도우미’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사람의 근기능을 측정한 뒤 개인별 맞춤 운동을 하도록 돕는 로봇이다. 이를 위해 외부 힘을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7개가 표지층으로 부직포를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대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휴먼융합기술그룹장은 “부직포에는 미세한 구멍이 많아 혈액을 잘 통과시키고 흡수한다”며 “이로써 피부에 직접 닿는 면을 보송보송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 중 3개는 순면이 아닌 합성섬유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