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온 것이라는 사실은 여전히 낯을 좀 뜨겁게 했지만. 그 즈음 뉴스에는 혁신적인 현미경 기술을 개발해낸 물리학자라든가 몇 주째 꺼지지 않고 있는 천연가스 화재에 대해 분석을 내놓은 지질학자도 출연했는데, 그들은 단지 열정을 현미경이나 가스 흉내로 표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찬사의 ... ...
- [과학뉴스] 그림을 그리는 대장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여 준 이미지를 그대로 그려내는 대장균을 만들어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유전자 변형 기술을 이용해 빨강과 초록, 파랑의 빛을 인식하면 각 색깔에 맞는 색소를 생산하는 대장균을 만들었어요. 대장균의 유전자에 빛에 민감한 다른 세균의 유전자를 삽입한 거예요. 이 유전자는 마치 ‘센서’처럼 ... ...
- 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안녕? 반가워. 우린 수박씨 가족이야. 조금 전 ‘쩌억~!’ 하는 소리가 들리더니 세상이 밝아졌어. 저기 하얗고 커다란 건 뭐지? 으…, 으악~! 이빨인가 봐! 우선 도망부터 가야겠어! 수박씨 살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Part 1. [변신 1단계] 남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휴~! 괜히 도망쳤나 봐. 이빨 주인이 “어휴~, 귀찮아.” 하며 수박씨를 모두 골라내지 뭐야.귀찮다니! 우리가 얼마나 엄청난 가족인 줄 모르는군. 무려 40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뿌리 깊은 가문 출신이라구!수박은 원래 쓰다?!우리가 흔히 ‘수박’이라 부르는 과일은 모두 ‘시트룰러스 라나투 ... ...
- [과학뉴스] 햇빛 받아 이산화탄소로 연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용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잡아 연료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송현준 KAIST 화학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메탄으로 바꾸는 ‘금속산화물 혼성 광나노촉매’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이산화탄소는 매우 ... ...
- [과학뉴스] 너무 많은 양전자, 펄서 말고 어디 출신?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까운 펄서(자전하는중성자별)로부터 왔을 것이라고 추정해왔다. 그런데 미국 미시간기술대 연구팀이 멕시코의 HAWC(High-Altitude Water Cherenkov) 감마선 관측소의 관측결과를 토대로 반론을 내놨다. 연구팀은 특정한 두 개의 펄서(Geminga, PSR B0656+14)가 방출하는 감마선을 측정했다. 감마선은 양전자가 ...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페이스북은 사진에서 얼굴을 인식해 동일 인물을 자동으로 묶어 알려준다. 얼굴 인식 기술의 ‘원조’는 우리 뇌다. 뇌는 70ms(밀리초) 만에 얼굴 인식을 끝내고 인공지능(AI)은 뇌가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을 끊임없이 모방하고 학습한다. 얼굴이 신분증이 되는 시대가 시작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평가에 투입되는 비용과 물리적인 시간의 제약이 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201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를 발표하면서 질적 성과지표 104개를 새롭게 추가했다. 질적 성과지표에는 피인용횟수, 고피인용도 논문 수, 즉시성 지수 등이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치약 뚜껑, 병 뚜껑, 세제 뚜껑은 물론 깨진 유리컵과 플라스틱 숟가락, 전구 소켓까지…! 우리 소라게들이 집으로 삼고 있는 다양한 해양 쓰레기 목록이야. 우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어디든 들어가 살지. 집게 뒤에 숨겨진 연약한 배를 보호하라!소라게를 보면 집 밖으로 빼꼼 내민 두 개의 눈과 단 ...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우리나라보다 석면 배출물이 수십 배 많은 일본 등 해외에서도 활용 가치가 높은 기술”이라며 “석면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3390/min708014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