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연구
데
이터는 1억 건이 넘는다”며 “이런 강점을 누리온과 연결해 산학연과 함께
데
이터 생태계를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슈퍼컴퓨터는 국가 전략 장비이자 AI 시대 핵심 인프라인 만큼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투자와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했다. 원자로에서는 초당 1000만W 출력일 때 대략 2해 개(2X1020)개의 중성미자가 생성되는
데
, 이렇게 생성되는 중성미자의 개수가 원자로의 열 출력에 비례한다는 점을 고려해 원자로의 가동 여부를 추적한다는 아이디어다.doi:10.1126/science.aav8136 서선희 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은 “그동안 순수 ... ...
‘아베노믹스’가 한국에 주는 교훈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기업들이 거대한 내수시장에서 안주하며 경쟁력을 잃어버린 것은 일본 물가가 상승하는
데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아베 정부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공언하며 유연한 가격표와 정보통신 혁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노력 중이다. 일본 정부가 어떤 식으로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배아에 전해지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정자나 난자의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것도 아닌
데
한 세대가 겪은 환경 변화나 질병 등이 다음 세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세대 간 후성유전(transgenerational epigenetics)’이라고 부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생물학계에서 ‘핫’한, 앞으로도 많은 연구로 ... ...
[수학뉴스] 목적지가 어디세요? 가장 ‘안전한’ 경로 찾아드려요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가장 안전한 경로를 찾을 수 있게 한다면, 영국과 세계의 교통사고 사상자 수를 줄이는
데
분명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고분석과예방’ 12월호에 실렸습니다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의사들이 수학연구소인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 도움을 요청했다.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이 수학자에게 도움을 구하다니, 대체 무슨 이유일까. “최근 많은 분 ...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수학 이론을 적용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 ...
서보현 대구과학고 입학관리부장 - “우수하면 다음 단계 생략하고 우선 선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문제풀이 능력보다는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표현 능력을 확인하는
데
집중한다”고 말했다. 특히 지원자들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점이 인성이다. 서 부장은 “학생들이 오랜 기간 함께 생활하는 기숙학교의 특성상 교우관계나 사제관계 등 인성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전송할 수 있게 됐어요. NASA의 과학자들은 제한적이긴 하지만 IMAGE 위성과 통신하는
데
성공했답니다.Q.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어렸을 때 짧은 파장의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해 우주를 추적하는 소련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어요. 그리고 이 방법을 이용해 아버지와 함께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람을 조종하기 위해 드는 노력이 너무 크다고 주장했지. 신경전달물질을 만드는
데
힘을 쏟다가 다른 미생물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거야. 연구진은 대신 인간의 기분이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장내미생물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대사활동의 부산물 때문이라고 주장했어.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초코볼이 동그란 초코볼보다 훨씬 더 빽빽하게 공간을 채운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무작위 쌓기가 구 쌓기에 가까운 최대 밀도를 보인 것은 처음이여서 학자들은 깜짝 놀랐습니다. 미국 물리학자 시드니 나이젤은 “이건 놀랍고도 멋진 결과다”라고 말하기도 했죠. 채킨 쿄수는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