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빠른 시일 내에 수의사를 찾아가 진단을 받아야 해요. 토끼는 많은 시간을 먹이를 먹는
데
써요. 심지어 배변활동을 할 때나 배변활동을 하기 직전까지 먹이를 먹어요. 토끼의 위장은 사람과 달라 먹이로 대변을 밀어내야만 배변활동을 할 수 있거든요. 따라서 언제든 먹을 수 있도록 건초와 야채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때문이에요. 같은 간헐천이라도 쉬는시간은 때에 따라 변해요. 언제 솟을지 모르는
데
다 굉장히 뜨겁기 때문에 가까이 가면 위험하답니다. 간헐천을 뜻하는 영어 단어 ‘Geyser’는 아이슬란드어에서 왔어요. 아이슬란드에 있는 유명한 간헐천인 게이시르가 어원이죠. 높게는 70m까지 물을 뿜는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향수를 통해 업적을 자랑하는 대신, 과거의 도전이 미래의 도전으로 이어지도록 이끄는
데
집중한다. 눈을 과거의 달에 멈추게 하지 않고, 미 래의 화성을 향하게 한다. 압도적인 비주얼로 천장에 매달린 새턴 로켓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도전을 향 한 ‘영감’의 정수이자 상징이다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초코볼이 동그란 초코볼보다 훨씬 더 빽빽하게 공간을 채운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무작위 쌓기가 구 쌓기에 가까운 최대 밀도를 보인 것은 처음이여서 학자들은 깜짝 놀랐습니다. 미국 물리학자 시드니 나이젤은 “이건 놀랍고도 멋진 결과다”라고 말하기도 했죠. 채킨 쿄수는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비슷한 구조와 세포 구성, 기능을 지닌 ‘미니 장기’다.연구팀은 망막으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와 화학물질을 공급해 줄기세포를 2주간 배양했다. 그 결과 줄기세포는 20~60개의 작은 세포 덩어리로 자랐다. 연구팀은 이를 다시 9개월 동안 키워 망막으로 만들었다. 이 망막 오가노이드는 빛에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초강력 레이저로 양성자를 빛의 속도 가까이 가속시켜 암 치료용 양성자를 생산하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무루 교수는 국내 과학자들과도 인연이 깊다. 미국 미시간대 초고속광학연구소장과 프랑스 응용광학연구소장으로 재직했던 당시 KAIST 출신 연구원들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최근에는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줄이는 것이 목표다.대량생산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포스트 교수가 패티 한 장을 만드는
데
에는 수개월이 걸렸다.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육세포를 더 작은 공간에서 더 크게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평면이 아닌 공 모양의 배지를 제안하기도 했다. 공 모양이 공간 대비 표면적이 다른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용한 해양 생지역학 피드백 연구는 북극해의 미래 기후를 전망하고 원인을 밝혀내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임형규POSTECH 환경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기후변화가 북극해의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hglim@postech.ac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2018년 9월 24일, 1966년 필즈상 수상자인 마이클 아티야 교수가 수학계 최고 난제인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후 SNS에는 리만 가설이 풀렸 ... 문제”라며, “리만 가설이 풀리면 증명 과정에서 나오는 다양한 이론들이 다른 문제를 푸는
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지문이 나오면 틀릴 때가 많았다”며 “보통 모르는 건 어려워서 공부하지 않으려고 하는
데
, 아는 것만 공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 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더라도 어렵고 안 되는 과목 위주로 공부해야 한 문제라도 더 맞힐 수 있다는 것이다. 황 씨는 일반고 재학생 에게 “내신 성적 관리가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