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뱀이 기어가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앞뒤 마찰력의 차이는 작지만 뱀이 근육을 수축하고 이완해 물결모양을 만들 때 머리
방향
으로 이동하게 하기에는 충분하다”며 “바닥이 매끄러울 경우 뱀이 거의 이동하지 못하는 이유도 이 마찰력의 차이가 없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한편 이론값이 측정값보다 작게 나온 이유는 뱀이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해수면 상승으로 섬에 고립된 유로파사우루스의 조상은 먹이가 부족해지자 왜소화
방향
으로 급격히 진화했을 것”이라며 “뼈 화석 조직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다른 용각류보다 천천히 자랐음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 ...
‘공기파도’로 모양 구분해 신약 효능 분석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진동하는 공기파도를 타고 흐른다. 공기파도는 1분에 350~400nL(나노리터, 1nL=10-9L)씩 검출기
방향
으로 흐르며 절대 거꾸로 흐르지 않는다. 공기가 압력 차에 의해 흐르도록 검출기 부분을 초진공 상태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온은 공기파도를 타고 흐르면서 모양에 따라 서로 간격이 벌어진다. 그래서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있어 무게중심이 뒤로 쏠린다. 이럴 경우 안정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갑자기 기체 아랫
방향
에서 돌풍이 불 경우 상대적으로 가벼운 기체의 앞부분이 위로 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일을 막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트랜지션은 주날개에 양력이 작용하는 지점인 ‘공력중심’을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잘 표현했어요. 특히 추위를 막는 잔털까지 어깨뼈인 견갑골과 다리뼈인 대퇴골과 같은
방향
으로 세밀하게 그려져 있죠.”이번에는‘한국 자생생물 세밀화 공모전’ 제2회(2007년) 대상작인 ‘산양’을 놓고 찬사가 이어졌다. 멸종위기종인 산양을 담은 이 그림은 야생동물연구가 최현명 씨의 ... ...
‘신의 눈’에서 ‘우주 물음표’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부분이 각각 다르다.3 나선은하와 타원은하의 경계에 있는 NGC7049. 지구에서 인디언자리
방향
으로 1억 광년 떨어져 있는 이 은하는 먼지 고리가 외곽(헤일로)에 있는 무수한 별들의 빛을 받아 돋보인다. 먼지 고리를 제외하고는 타원은하와 비슷하지만 보통 타원은하에 비해 구상성단의 수가 상당히 ... ...
아날로그에 디지털 입혀 증강현실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구현한다. 휴대전화의 카메라로 박물관 내부를 보면 화살표나 소리, 진동이 가야 할
방향
을 안내한다. 전시된 유물을 둘러보다 휴대전화를 갖다 대면 유물의 상세정보를 실제 유물과 겹쳐서 볼 수도 있다.이렇게 3차원 현실 공간에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아는 일이 ... ...
사막개미의 내비게이션은‘냄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보이지 않죠. 그래서 사막에 조난당한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느
방향
에서 왔고 어느
방향
으로 가야 할지를 몰라 헤매기 십상이랍니다. 하지만 우리 개미들은 그럴 염려가 없죠.잠깐만요. 개미들은 그럴 염려가 없다구요? 흠…. 왜 그렇죠? 이 상황에서도 그런 말을 들으니 과학기자의 호기심이 ... ...
청정 100%, 풍력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반작용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공기가 밀려 나가는 힘과 같은 세기의 힘이 반대
방향
으로 작용하며 차를 앞으로 밀어 냅니다. 풍선의 공기가 다 빠지면 차의 속도가 줄어들다가 멈추게 되지요.엄청난 굉음과 불을 뿜으며 우주로 날아가는 로켓에도 ‘작용-반작용의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힘은 열차가 위에서 아래로 내리누르는 수직
방향
의 힘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수평
방향
의 힘을 견디는 기둥 옆부분이 얇아도 구조는 충분히 견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레일에 작용하는 힘의 분포를 보면 레일의 머리와 받침 부분이 가장 크고, 기둥의 옆 부분이 가장 작다. 결국 레일의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