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별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천체물리센터(CfA) 트래비스 메트칼프 박사팀은 지구에서 센타우루스자리
방향
으로 50광년 떨어진 백색왜성 BPM37093의 내부가 다이아몬드와 같은 탄소결정체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에 발표했다. 백색왜성은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별이 진화과정에서 ... ...
1억 년 전부터 흰개미와 미생물 공생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동물과 미생물이 서로 도우면서 살아가는 관계, 즉 공생 관계를 이룬 지 적어도 1억 년 이상 됐다는 증거가 발견됐다. 미국 오리건주립대 동물학과 조지 ... 뱃속의 미생물은 소화 능력을 더 향상시켰을 것”이라며 “결국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방향
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보잉사와 함께 세계 항공기 제조업계를 이끄는 유럽 에어버스사가 앞으로의 비행기 개발
방향
을 ‘덩치’에서 ‘속도’로 바꿀 방침을 내비친 점은 주목된다. 프랑스 유력 일간지인 르몽드는 2003년 “500명이 넘는 승객을 태우는 세계 최대 여객기 A-380 개발에 매달리고 있는 에어버스사가 초음속 ... ...
낮이 가장 긴 달은 하지가 있는 6월인데 왜 날씨가 가장 더운 달은 8월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나 있어 울퉁불퉁합니다. 빛이 종이에 닿으면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빛들이 다양한
방향
으로 반사됩니다. 결국 종이는 불투명한 흰색으로 보입니다. 반면 종이에 물이나 기름이 묻으면 투명해집니다. 종이 표면에 있는 수많은 구멍들이 액체로 매워져 울퉁불퉁한 표면이 매끄러워지기 때문입니다.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있었다. 나사의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은 아직 남아있는 연료를 분사해 탐사선의
방향
을 지구 쪽으로 향하도록 명령했다. 그리고 태양계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지구로 전송했다. 물론 수십억 킬로미터나 떨어진 탐사선과 지구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는 데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6만 4000개의 ... ...
동물원 역사는 동물이 행복해지는 역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동물을 전시하는 데에서 종(種)을 보존하고 연구하는 것으로 현대 동물원의 주된 운영
방향
이 바뀔 수 있었던 것도 동물원의 환경이 자연답게 변했기 때문이다.무엇보다 자연 속에 놓인 동물은 관람객을 더 행복하게 했다. 좁은 우리에 갇혀 이빨을 드러내며 유리벽에 주먹을 날리는 오랑우탄보다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정확히 타격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유도제어시스템이 필요하다. 미사일의 위치와
방향
, 속도는 중력 효과, 온도 변화, 공기 압력 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북한은 아직 이러한 정밀유도제어시스템을 검증한 적이 없다.대부분 탄두는 재돌입비행체 내부에 놓인 채로 미사일에서 ... ...
끝나지 않은 물리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그들은 한결같이 과학은 기본적으로 낙관적이며, 우리의 일상과 세계를 긍정적인
방향
으로 이끈다고 말한다. 불안과 의혹의 시대인 21세기 세계의 지성들이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만나보자.인간의 모든 감각최현석 지음 | 서해문집 | 296쪽 | 1만 2500원이 책은 지금까지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을 ... ...
올림피아드 어떻게 바뀌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배운 개념으로도 충분히 풀 수 있도록 난이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교과부의 개편
방향
에 대해 교육계 일부에서는 정부의 바람과는 정반대의 예상을 내놓고 있다. 남신 대치중학교 교무부장은 “올림피아드 제도를 수정한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응시자격을 학교장에게 일임한다는 방안은 ... ...
[생물]좌뇌와 우뇌를 잇는 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말하라. 전문가 클리닉 제시문(나)를 보면 시각을 통해 들어온 정보가 시야와 반대
방향
의 뇌, 즉 감각령에서 처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제시문(다)의 실험을 보면 뇌량이 절단된 환자가 자신이 본 것을 말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뇌의 각 반구들이 처리한 정보를 뇌량을 통해 교환해야만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