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이미 식이요법 있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몸이 허한 것을 보충하려면 여우고기를 끓여 먹어라’ 등이 그런 예다.부산대 식품영양
학과
박건영 교수는 “오늘날 당뇨로 일컬어지는 소갈증이나 전립선비대증인 소변불통, 대변불통에 관한 대목은 현재 영양학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전문은 농촌진흥청 도서관 홈페이지(http://lib.rda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빠져 있거나 흑백으로 실려 있던 사진을 원작 그대로 실은 점이 첫눈에 띈다. 서울대 천문
학과
홍승수 교수가 맡은 번역도 훨씬 매끄럽고 원작에 충실하다.저자는 이 책에서 천체현상에 대한 지식의 재미를 넘어서 우주와 생명의 신비를 파헤치는 풍부한 상상력과 통찰로 사람들의 감성과 눈을 ... ...
사람 피부같은 촉각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연구진이 사람 피부를 모방한 촉각센서를 개발했다.KAIST 전자전산
학과
윤의식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 조직과 기계적 특성이 비슷한 합성고무 재질(PDMS)을 사용해 사람 손가락처럼 1mm 이상 떨어진 자극을 구별할 수 있는 촉각센서를 개발했다고 1월 30일 밝혔다.이 촉각센서는 한국의 휴보(HUBO)나 일본의 ... ...
7. 디자인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못한다고 철썩 같이 믿고 있기 때문이다. 과연 그럴까. 이탈리아 밀란 폴리테크닉대 건축
학과
셀레스티노 소두 교수는 컴퓨터에게 집설계를 맡겨버렸다.그가 이런 ‘직무유기’를 감행한 것은 사람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디자인에 대한 영감을 컴퓨터가 줄 수 있다고 믿기 때문. 그는 건축뿐 아니라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너무 깊어서 다리를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명지대 건축
학과
김석철 교수는 새만금 해역 하부에는 강한 암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갯벌을 보존한 채 충분히 다리를 건설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전 세계에서 가장 넓은 갯벌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모든 갯벌을 ... ...
보약 못지않은 녹황색 채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웰빙’(well-being) 바람이 불면서 사람들이 웰빙식(食)으로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 중 하나가 신선한 녹황색 채소일 것이다. “녹황색 채소를 먹으면 젊어지고 오래 산다.” “녹황색 채소가 항암효과도 있고 비만도 예방한다.” 주변에서 쉽게 듣는 말이다. 이제 이는 단순히 전해듣는 이야기가 아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심리학만의 물음이 아니다. 인간의 합리성에 대한 진화론적 고찰은 전통적 경제
학과
심리학의 기본 전제들을 뿌리부터 흔들고 있다. 지금도 주류 경제학의 설명 양식은 ‘합리적 선택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할 수 있는 한 모든 요소들을 검토하고 특정 선택을 했을 때 어떤 결과가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된다. 반면 땅콩 같은 먹이는 오랫동안 둬도 상관이 없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실험심리
학과
니콜라 클레이튼 교수팀은 땅콩과 애벌레의 은닉실험을 통해 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의 일종인 스크럽 제이(scrub jay)의 탁월한 기억력을 밝혀냈다.먹이를 은닉한 뒤 네시간 후에 은닉처에 두자 이 녀석은 더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행운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김 교수는 결혼 적령기도 훌쩍 넘긴 채 물리
학과
의 달콤한 사랑에 빠져있었다. 그러나 김 교수에게 인연을 찾아준 것도 바로 물리학이었다. 그녀는 3년 전 시카고대의 동료 물리학자인 시드니 네글 교수와 100년 가약을 맺었다.이번 방한을 계기로 김 교수는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름은 ‘크림’(CREAM·Cosmic Ray Energetics And Mass)이다. 한국에서는 이화여대 물리
학과
가 주도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해 메릴랜드대와 이탈리아 피사대 등이 참가했다. 특히 메릴랜드대 서은숙 교수가 이 연구의 총괄 책임을 맡고 있다. 남극에 거주한 우리 팀 20여명 중 나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