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담아 쏘아 올린 로켓!”-채연석 원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못 만들 게 뭐가 있을쏘냐!”■채연석 원장님은1951년 충북 충주 출생1975년 경희대 물리
학과
졸업1987년 미국 미시시피주립대 항공우주공학 박사1988년 천문우주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199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소 KSR-Ⅲ 사업단장2002년-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유별난‘로켓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교육현실 탓인지 교수님은 방황의 시기를 보냈다고 해요. 전공인 동물학 수업보다는 문
학과
스포츠에만 관심을 쏟았던 것이죠.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이 뭐였지?방황의 대학 시기를 보내던 중 교수님의 인생을 바꿔놓는 놀라운 만남을 가지게 됩니다. 곤충을 연구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미국의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나선방향은 종이 분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일본 신슈우대 생물
학과
타카히로 아사미 교수팀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는 껍질을 가진 달팽이에서 시계반대방향의 껍질을 갖는 돌연변이체가 태어날 경우 자라서 제대로 짝짓기를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짝짓기를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대한 찬반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최근 정부가 세계적 복제 전문가인 서울대 수의
학과
황우석 교수에게 거액의 연구비를 주기로 한 것이 발단이 됐다.과기부의 ‘묻지마 투자’지난 10월 20일 황 교수 연구팀은 잠정 중단했던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재개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러자 정부도 발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다만 그는 자신의 이론으로 인해 원자 상수를 계산할 수 있게 됐고, 이 때문에 전자기
학과
원자론의 관련성이 입증됐으므로 원자론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사실 1907년과 1908년에 플랑크는 노벨상 후보에 올랐는데, 이는 작용양자 때문이 아니라 그의 복사공식이 원자론에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함께 참여해야 합니다.”그래서일까. 유기구조재료를 전공한 정 교수이지만 전자공
학과
생물공학 관련 뉴스들은 빼놓지 않고 챙긴다. 이런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기 때문이다. 바이오칩 연구 활발 정 교수팀은 최근 나노구조체를 활용해 바이오칩을 만드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철학적 난제 중 하나를 던진 장본인이다. 디랙은 현대물리학의 중요한 두 축인 양자역
학과
상대성이론을 결합한 새로운 이론을 창시하는 과정에서 ‘반입자’의 존재를 최초로 예언했기 때문이다.반입자(antiparticle)란 간단히 말해서 현재 우주를 이루고 있는 입자와 질량 등 물리적 성질은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오히려 비만이 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안산1대학 식품영양
학과
정진은 교수도 최근 한국인의 설탕 섭취량과 비만이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정말 설탕이나 과당과 같은 당분이 비만과 관계가 없을까?정 교수는 “설탕 자체가 비만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 ...
어디서나, 누구나 컴퓨터를 입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표현했다는 점이 독특하다.다음은 전시회 전체를 총괄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자전산
학과
유회준 교수(정보통신연구진흥원 연구위원)와의 일문일답.■ 패션쇼를 기획한 계기는?지난해부터 정보통신부가 추진 중인 차세대 PC와 시스템온칩(SoC) 관련 산업 전시회를 준비해왔다. 그 일환으로 ... ...
미적분으로 인격을 닦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박 교수가 이런 책을 쓰는 것은 좀더 많은 학생들이 수
학과
친해지기를 바래서다. ‘수
학과
의 이별’은 중학교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다고 한다. 함수, 방정식이 나오면서 복잡해지다가 기하도형에 가면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한다. 그런 학생들이 이 책을 보고 수학에 재미를 느낀다면 수학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