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기후행동 1.5℃ 토크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심고, 폐기물을 줄여 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어요. “앱에서 본 짤툰의 주인공입니다!”류 박사의 강연에 이어 기후행동 1.5℃ 앱의 짤툰을 제작하는 불개미커뮤니케이션의 박은수 대표가 무대 위로 올라왔습니다. 박 대표는 짤툰에 탄소중립 생활 실천 방법을 담았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해하기하늘이 붉게 물드는 이유는? 해질녘, 하늘이 붉게 물드는 것을 본 적 있나요? 왜 낮에는 하늘이 파랗다가 해가 지기 전에는 빨갛게 물드는 것일까요? 먼저 태양빛에 대해 이해해야 해요. 태양빛에는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이 모두 섞여 있어요. 이를 ... ...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버스 번호에 숨은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보고도 어떤 버스를 타야 할지 알 수 있도록 도와줄게요. 서울에서 버스가 지나가는 걸 본 적이 있나요? 버스의 색깔이 빨강, 파랑, 초록으로 다양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지요. 서울시의 버스는 종류에 따라 색깔이 나뉘거든요. 파란색 버스는 서울시 안에서 먼 거리를 이동할 때 주로 타는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 수 없다면, 과학자들은 왜 양자전송에 관심이 많을까? 양자전송의 첫 단계인 양자얽힘을 그래픽으로 표현했다. 양자전송은 아마도 ‘우리가 실험으로 구 ... 더 많은 양자가 연결되길 바란다. 그 결과 양자정보과학 분야가 날개를 다는 날을 기대해 본다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앞으로의 일들을 생각했다. 우선 오늘 번 돈으로 부동산을 또다시 사야했다. 물론 근본적인 문제점은 항상 핍의 머릿속을 맴돌았다.‘언젠가 망할까?’우주가 팽창하면서 엔트로피는 떨어지는 것은 피할 수 없었다. 일부 과학자들은 엔트로피가 0에 수렴할 경우에 우주 전체가 다시 쪼그라질 수도 ... ...
- [특집] 내가 기억하는 이탕장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교수의 나이는 68세. 그럼에도 그가 여전히 훌륭한 결과를 내는 비결이 뭘까. 장 교수를 본 주변 사람들은 그를 ‘수학을 위해 태어난 사람’이라고 평가한다. 그조차도 “전 어렸을 때부터 언젠가 큰 수학 문제를 풀게 될 날이 올 것이라고 상상했고, 늘 자신감이 있었다”라며, “나이는 대체로 ... ...
- [메타버스 여행법] 점프 점프! 제페토에서 뛰어 보자, 팔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찍으면 아주 근사하겠죠? 반면 제페토 공식 점프 게임은 ‘점프’라는 요소를 기본으로 하면서, 각 월드 콘셉트에 충실한 캐릭터나 아이템도 있어 더욱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인어공주’ 월드 안에 있는 ‘마녀의 동굴’은 바닷속을 떠다니는 가리비 껍질을 타고 사뿐사뿐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2014년 8월 13일 서울 코엑스. 전 세계에서 온 수학자 5000여 명의 뜨거운 박수를 받으며 세계수학자대회(ICM)의 개막식이 열렸습니다. 4년마다 진행돼 ‘수학 ... 수학의 발전을 이끈 사람이에요. 일본의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 이세이 미야케와 함께 본인 연구를 주제로 패션쇼를 하기도 했어요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래빗홀 컴퍼니가 해냈다면 어떨까요. 저희 래빗홀 컴퍼니는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기본입자의 양자상태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물론 김 책임연구원의 말처럼 빛의 속도의 한계는 있지만요. 그리고 양자얽힘 측정결과 정보를 토대로 물체를 재구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1초까지 획기적으로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학문적 호기심이 끊임없는 연구를 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말했다. 결국 과학의 본질은 호기심이며, 그 열정에서 모든 탐구가 시작되는 것이라고. 마지막으로 패트리샤 양 교수에게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해 물어보았다. “이그노벨상을 받은 후부터 주변 사람들이 제게 자꾸 이상한 똥에 관한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