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과동 기자단] 누리호 개발 연구원 특별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를 추천해요. 저는 살면서 다섯 번은 읽은 것 같아요.고 최근에 제가 우주발사체개발사업본부의 조광래 책임연구원과 함께 이라는 책을 냈어요. 우리나라에서 로켓을 만들며 겪은 이야기를 담았으니 읽어보셔도 좋겠어요. 앞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는 무엇인가요?유 첫 발사체인 ... ...
- [메타버스 여행법] 오늘은 크리에이터 월드에 놀러가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월드 4 애니메이션 를 배경으로 만든 월드예요. 제가 가장 재미있게 본 우리나라 애니메이션이기도 하지요. 이 월드에는 애니메이션 속 자두의 집과 민지네 집, 아이들이 모이던 문방구, 소독차가 구석구석 누비는 추억의 골목길이 생생하게 옮겨져 있어요. 그리고 길을 따라 여러 ... ...
- 게임으로 만나는 놀러와! 도토리 슈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 본책 44쪽과 함께 보세요! 물가 비상’! 기름값부터 우윳값까지, 도토리 슈퍼에 필요한 물건의 가격이 모두 올랐어요. 당황한 솜을 도와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해 봐요. 케이크 팔고 얼마 벌었지? ‘이윤’이란 내가 번 돈에서 여러 가지 비용을 빼고 남은, 순수하게 번 돈을 말해요. 솜의 가계부를 ... ...
- [냠냠! 어수잼] 우리의 지식을 가득 담아! 백과사전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열매를 채워라! 포메라니안에 대한 정보를 찾아 댕댕 나무의 열매를 직접 채워볼까요? 본책 20쪽에 있는 댕댕 나무의 비숑 프리제에 대한 정보를 참고하세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생물을 들어본 적 있어? 마른 흙에 물을 넣었더니 이 생물이 탄생했다는데,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봐야겠어. 또, 과학 영상 추천 알고리즘을 따라가다 보니 골판지로 뚝딱뚝딱 자판기를 만들어 컵라면을 끓여 먹은 영상도 발견했는데, 궁금하네! 그럼 이번 호 나 마이보가 추천하는 과학 영상 함께 ... ...
- [메타버스 여행법] 오늘은 어떤 월드에 들어가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 양하~! 그동안 아바타 꾸미기와 웹툰 만들기 등을 소개하며 다양한 미션들을 드렸는데요, 독자 여러분이 어과동 홈페이지에 올려준 미션 수행 결과를 정말 재밌게 보고 있어요. 이번 화에서는 ... ...
- [특집] 한준희 해설위원과 예측부터 분석까지! 2022 카타르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기업 디애널리스트는 모든 조의 경기를 1000번 이상 가상 경기로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프랑스가 17.93%의 확률로 우승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밝혔습니다. 디애널리스트가 공개한 우리나라의 우승 확률은 0.35%였으며, 0%의 확률을 기록한 국가도 있었죠. 한준희 해설위원은 “한국의 16강 진출을 35% ... ...
- [가상 인터뷰] 눈으로 안 봐도 간지럼은 전염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이는 단순히 모방행동이 아니라 다른 동물의 고통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본 거야. 물론 인간은 쥐와 다른 이유로 모방행동을 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포유류에 대한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고 밝혔단다.●감광신경절세포 : 눈의 망막에 위치하며, 빛에서 얻은 전기적 신호를 뇌로 ... ...
- [기획] 우리나라에서 완두콩 실험을 재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육종개발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곳이에요. 강원희 교수는 “학창 시절 완두콩 실물은 본 적도 없이 사진이나 그림으로만 멘델의 유전법칙을 배웠다”며, “처음 유전법칙을 배우는 어린 학생들도 어려워하지 않고 멘델의 유전법칙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해서 이 프로그램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직접 인공지능 프로그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지각)’예요. 아무리 뛰어난 계산기라도 스스로 학습하고 추론하고 지각하는 계산기는 본 적 없죠? 만약 인공지능 계산기가 있다면 우리가 답답한 표정을 지을 때 그것을 스스로 알아차리고(지각), 학생에게 계산기의 도움이 필요한지 판단한 뒤(추론) 계산을 해 줄 거예요. 멋지지 않나요?이미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